안도걸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시대적 흐름… 선제적 대응 시급”

기사입력:2025-08-20 14:33:18
안도걸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안도걸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광주 동남을) 국회의원은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국은행 총재에게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걱정하지 말고 규범 체계 마련을 통해 시대적 변화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안 의원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를 상대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제도화 관련 쟁점들에 대해 조목조목 지적하며 “한국은행이 스테이블코인 도입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통화정책·금융불안·외환규제약화 등의 문제를 너무 크게 염려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을 쏟아냈다.

특히 한국은행이 크게 우려하는 통화정책 유효성 관련해 “99%를 차지하고 있는 달러 스테이블코인도 미국 통화량(M2)의 1.3%에 불과하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단기간 내 통화정책을 심각하게 제약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일갈했다.

아울러 가상통화 코인을 실물 화폐로 바꾸려는 수요가 급격히 몰리는 코인런 등 스테이블코인 리스크도 “뱅크런 위험이 있다고 은행을 없애지 않듯이 코인런 걱정만으로 가상통화를 제약하면 안 된다”며 “준비자산요건·우선상환변제권·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 등의 제도적 장치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도걸 의원은 전 세계 하루 외환거래 규모가 7.5조 달러라는 점을 들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약 2800억 달러를) 팔아도 외환(FX)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환규제 우회나 환투기 위험도 기존 역외선물환(NDF) 시장에 비해 크지 않다면서 제도적 모니터링 장치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안 의원은 한국은행의 은행 중심 발행 방식이 핀테크 혁신을 막는다면서 핀테크 참여를 통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확장 필요성을 역설했다. 여기에 난립 우려는 자본금 요건과 감독 규정으로 관리 가능하므로 도입을 미루기보다 선제적 리스크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한은(BOK) 총재를 압박했다.

이어 은행예금 축소 우려에 대해 “법률안에 이자 자급을 전면 금지해 은행예금 대체를 원천 차단했고 발행인의 준비금 역시 은행권에 재 유입되는 만큼 자금중개 기능 약화와는 무관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안도걸 의원은 “스테이블코인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며 이미 국제 금융질서를 재편하는 새로운 질서로 자리 잡고 있다”며 “규제로만 막으려 할 것이 아니라 제도를 통해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만큼 BOK는 보다 적극적이고 미래지향적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325,000 ▼715,000
비트코인캐시 764,500 ▼6,500
이더리움 5,823,000 ▼79,000
이더리움클래식 28,970 ▼320
리플 4,011 ▼41
퀀텀 2,783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00,000 ▼584,000
이더리움 5,820,000 ▼80,000
이더리움클래식 28,970 ▼330
메탈 992 ▼11
리스크 529 ▼6
리플 4,014 ▼40
에이다 1,173 ▼23
스팀 17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30,000 ▼600,000
비트코인캐시 764,000 ▼7,000
이더리움 5,830,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28,970 ▼330
리플 4,014 ▼41
퀀텀 2,779 ▼1
이오타 270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