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 의혹 사건에 대해 감사원에서 진행해온 중간 감사 결과를 지난 15일 발표했다. 이에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대구 달서구갑)은 감사원 감사를 통해 문재인 정부 통계조작 범죄 실체가 드러났다며 사법 당국의 철저한 수사를 통해 관련자들 책임을 엄정히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감사원이 지난 15일 발표한 ‘주요 국가통계 작성 및 활용실태’ 내용엔 문재인 정부 시절 부동산 시장 과열로 여론의 뭇매를 맞자 2017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문재인 정부 청와대와 국토부가 최소 94회 이상 한국부동산원을 압박해 통계 수치를 조작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대표적 경제 공약인 소득주도성장을 띄우기 위해 가계동향조사를 가공한 정황도 드러났다. 아울러 고용 분야에서 비정규직 급증 원인을 ‘단순 병행조사 효과’로 몰아가기 위해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통계 결과 발표와 보도자료 작성에 개입했다는 결론도 내놨다. 이뿐만 아니라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의 전방위적 통계 조작이 이뤄졌다고 판단하고 통계법 위반, 직권남용, 업무방해 등 혐의가 확인된 관련자 22명에 대해 검찰 수사를 요청해 놓은 상황이다.
홍석준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이 정권 획득을 위해 자행 된 심각한 대국민 사기로 평가하며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해왔다. 지난해 12월 국회 본회의에서 5분 자유 발언에 나선 홍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소득 양극화 확대, 비정규직 증가, 집값 상승 등 잘못된 정책의 결과로 발생한 정권의 실정을 숨기기 위해 통계마저 조작하면서 국민을 속이려고 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의 소득통계 조작·고용통계 조작·집값 통계 조작·삶의 질 지표 조작을” 지적한 바 있다.
당시 홍 의원은 “통계조사 표본에서 저소득층 비중을 대거 줄이고 통계조사 방식까지 바꾸면서 양극화 지표가 개선된 것처럼 통계를 조작했다”며 “비정규직 근로자 수를 발표하면서 고용 통계를 조작해 문재인 정부 정책 실패의 진실을 은폐하려 했다”고 꼬집었다.
그리고 그는 “문재인 정부 내내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집값 상승률 통계가 실제 체감하는 집값 상승률과 괴리감이 컸다며 집값 통계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삶의 질 지표 개선은 통계조사 지표 중에서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등 불리한 지표들이 삭제된 결과”라고 비판했다.
또한 홍 의원은 “문재인 정부 청와대는 통계자료를 국민들에게 공표하기도 전에 사전에 열람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통계를 사전에 보고 받은 것은 정책 실패가 통계를 통해 알려지는 것을 은폐하고 사전에 통계를 조작해 국민을 속이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감사원의 감사 중간 결과 발표를 살펴보면 홍 의원이 그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던 의혹들이 실제 文정부에서 자행돼온 사실로 밝혀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홍석준 의원은 “정부 통계는 국가 현상을 분석하고 정부 정책에 대해 국민들로부터 평가 받을 수 있는 계량화된 자료다”며 “통계 자료를 마사지·조작했다는 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다”고 힘줘 말했다.
여기에 더해 그는 “정권 입맛에 맞춘 거짓·엉터리 통계에 관여한 관련자들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그 진실을 밝히고 엄중한 처벌로 다시는 국민의 눈을 가린 통계 조작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홍석준 “文정부 통계조작 범죄 실체 수사해 관련책임 물어야”
- 文정부, 한국부동산원 압박 통계조작·가계 동향조사 가공·고용통계 결과 개입- 홍 의원 “문정부 통계조작 철저 수사·엄중 처벌로 다시는 재발이 없도록 해야” 기사입력:2023-09-17 14:48: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3.80 | ▲14.01 |
코스닥 | 722.81 | ▲0.95 |
코스피200 | 341.31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60,000 | ▲414,000 |
비트코인캐시 | 520,000 | ▲9,500 |
이더리움 | 2,569,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10 | ▲110 |
리플 | 3,024 | ▲11 |
이오스 | 1,151 | ▲27 |
퀀텀 | 2,999 | ▲4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00,000 | ▲266,000 |
이더리움 | 2,56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30 | ▲100 |
메탈 | 1,121 | ▲11 |
리스크 | 679 | ▲6 |
리플 | 3,025 | ▲7 |
에이다 | 950 | ▲5 |
스팀 | 19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760,000 | ▲190,000 |
비트코인캐시 | 524,500 | ▲13,500 |
이더리움 | 2,567,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40 | ▲220 |
리플 | 3,024 | ▲10 |
퀀텀 | 3,005 | ▲81 |
이오타 | 29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