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보건위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부천시정)이 주최하고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가 주관한 ‘중증 천식 환자 삶의 질 치료 사각지대 개선 정책 토론회’가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토론회에선 경제적 부담으로 치료를 포기하는 중증 천식 환자들의 고통과 현저히 낮은 삶의 질에 대해 살펴보고 치료 사각지대를 해소키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다.
서영석 의원은 토론회 시작에 앞서 “열악한 정책 환경으로 인해 부작용을 감내하며 스테로이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증 천식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일상을 위해 정부와 보건당국이 적극 나서야 한다”며 “오늘 논의된 내용들이 실질적인 중증 천식 치료 환경 개선으로 이어져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 때문에 치료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앞장서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이어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지영구 이사장은 “적절한 치료제를 통해 중증 천식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하고 악화와 발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여전히 치료 보장성이 낮다”며 “이번 토론회가 이런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뜻 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중증 천식 환자의 질병부담과 삶의 질’을 발표한 김태범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지금까지 중증 천식은 일반적인 천식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질환으로 여겼지만 실상은 암 환자보다도 삶의 질이 낮은 중증 질환”이라며 “고통 받는 중증 천식 환자들을 위해 치료 접근성을 개선해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이어 ‘빼앗긴 숨, 치료 사각지대 중증 천식’을 주제로 발표한 정재원 일산백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선 제도적인 한계 때문에 천식 진료지침대로 중증 천식 환자를 치료하기 힘들다”며 “환자마다 치료 효과가 나타난 생물학적 제제(製劑)가 다른 만큼 모든 생물학적 제제(製劑)에 대한 통합적인 급여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선 국내 중증 천식 치료 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이 오갔다. 김진아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 권선미 중앙일보헬스미디어 기자, 오창현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장, 유미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관리실장, 그리고 김민혜 이대서울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가 토론자로 나섰다.
김진아 사무국장은 “현장에서 발표된 중증 천식 환자들의 삶의 질이 10년 전 보고서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삶의 질을 개선키 위한 생물학적 제제의 급여를 통해 치료 선택권을 다양화하고 중증 천식도 산정특례를 적용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권선미 기자는 “중증 천식은 다른 중증질환 대비 약제의 급여가 너무 늦다”며 “생물학적 제제는 천식이 경증에서 중증으로 가는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는 열쇠인 만큼 보다 신속하게 모든 생물학적 제제를 동시에 급여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오창현 과장은 “생물학적 제제가 중증 천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삶의 질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반기 급여 검토 작업을 신속히 진행해 환자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유미영 실장은 “암이나 중증 질환으로 지정되지 않더라도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친 질환은 위험분담제 확대 등을 정부가 고민하고 있다”며 “정부와 협의해 좀 더 나은 치료 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민혜 교수는 우리나라의 중증 천식 환자의 경구(經口) 스테로이드 지속 사용 비율이 92.9%로 미국의 4.5배를 넘는 사실을 지적하며 “후진적인 약제사용 행태이자 부끄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생물학적 제제(製劑)가 있는데도 급여가 안 돼 치료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환자 간 치료 형평성이 무너지지 않도록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급여를 동시에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이 종료된 이후엔 중증 천식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의 생생한 경험담과 질의가 이어졌다.
70대의 중증 천식 환자는 “그동안 숨 쉬고 걷는 게 너무 무섭고 두려워 삶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많았다”며 “현재 임상연구를 통해 생물학적제제 치료 지원을 받으면서 기적 같은 삶을 살고 있지만 이 기간이 끝난 후 다시 예전의 삶으로 돌아가게 될까봐 걱정이다.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은 절대 알 수 없을 이 고통을 헤아려주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전했다.
60대 환자는 “발작이 오면 1년에 10번 정도 응급실에 갔지만 생물학적제제 치료를 받은 이후 지난 2~3년간 응급실에 간 적이 없다”면서 “중증 천식은 죽음의 문턱을 왔다 갔다 하는 힘든 질환인 만큼 돈 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가 없도록 정부 관계자들이 도와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지영구 이사장은 “진료 현장에선 중증 환자에 대한 보다 정밀한 맞춤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모든 생물학적제제의 급여가 시급하다는 데 이견이 없다.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중증 천식 치료의 사각지대 없이 모든 중증 천식 환자들에게 혜택이 주어지는 실질적인 정책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경제적 이유로 치료 못한 중증 환자 없는 사회 만들자
서영석 의원, 중증 천식 환자 치료 사각지대 개선 정책 토론회 성료 기사입력:2023-07-28 11:54: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7.47 | ▲6.11 |
코스닥 | 724.65 | ▼8.58 |
코스피200 | 350.68 | ▲1.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538,000 | ▼215,000 |
비트코인캐시 | 563,500 | ▼3,000 |
이더리움 | 3,62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90 | ▼50 |
리플 | 3,398 | ▲5 |
이오스 | 1,117 | ▼7 |
퀀텀 | 3,399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541,000 | ▼199,000 |
이더리움 | 3,627,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20 | ▼100 |
메탈 | 1,212 | ▼8 |
리스크 | 766 | ▼3 |
리플 | 3,400 | ▲6 |
에이다 | 1,094 | ▼4 |
스팀 | 21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63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565,500 | ▼500 |
이더리움 | 3,626,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60 | ▲20 |
리플 | 3,400 | ▲8 |
퀀텀 | 3,404 | 0 |
이오타 | 3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