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 임금인상 쟁취! 공무원 생존권 보장! 공무원 노동자 총궐기대회

양대 노조 조합원 2만여 명 참여, '24년도 공무원 임금 37만7천 원 정액 인상 등 요구 기사입력:2023-07-08 17:15:25
 총궐기대회 참석자들이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내년도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가족과 함께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공노총 조합원이 기념사진을 촬영한 모습. 김민성 시군구연맹 사무총장이 곤룡포를 착용하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총궐기대회에서 대회사를 진행 중인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공노총 소속 5개 연맹 위원장이 공무원 임금을 정액제로 인상하라는 요구와 함께 '정률제 인상'이라는 문구가 적힌 상자를 격파하고 있다.(제공=공노총)

총궐기대회 참석자들이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내년도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가족과 함께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공노총 조합원이 기념사진을 촬영한 모습. 김민성 시군구연맹 사무총장이 곤룡포를 착용하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총궐기대회에서 대회사를 진행 중인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공노총 소속 5개 연맹 위원장이 공무원 임금을 정액제로 인상하라는 요구와 함께 '정률제 인상'이라는 문구가 적힌 상자를 격파하고 있다.(제공=공노총)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120만 공무원노동자를 대변하는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이하 공노총)은 8일 오후 서울 을지로입구역부터 종각역 일대까지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전호일, 이하 공무원노조)와 공동으로 양대 노조 조합원 2만여 명이 참여해 '임금인상 쟁취! 공무원 생존권 보장! 공무원 노동자 총궐기대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공노총은 코로나19, 고물가 등 각종 명분을 앞세워 일방적으로 공무원 노동자를 사지로 내몬 정부를 규탄하고, 정부와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결정하는 공무원보수위원회에 '2024년도 공무원 임금 37만7천 원 정액 인상', '정액급식비 8만 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5천 원 인상', '초과근무수당‧연가보상비 산정 방식 민간수준으로 개정' 등을 촉구했다.

이날 총궐기대회는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하위직 공무원 노동자의 어려운 현실과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는 공노총 5개 연맹 위원장의 투쟁 발언과 퍼포먼스, 양대 노조 조합원 50명씩 총 100명이 참여한 합창단 공연, 안정섭 공노총 수석부위원장이 공무원노조 대표와 공동으로 투쟁 결의문을 낭독했고, 무대 행사 종료 이후 을지로입구에서 출발해 숭례문을 거쳐 서울역 방면으로 거리행진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총궐기대회 참석자들은 양손에 '생존권 쟁취!' '임금 정액인상'이라는 문구가 적힌 막대 풍선을 들고, 얼굴에는 '엄마 아빠, 월급 올려주세요', '월급 올리GO! 청년 살리GO! 가족 지키GO!' 등이 적힌 판박이 스티커를 얼굴과 팔 등에 붙이며 정부에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을 요구했다.

특히 이날 총궐기대회에는 주말을 맞아 부모와 함께 참여한 어린 자녀들이 정부에 공무원 노동자의 열악한 처우개선과 내년도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데 동참해 눈길을 끌었다.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은 "낮은 임금에 불합리한 현실, 이것을 참아가며 공직생활을 하라는 건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것이 그토록 주장하는 '공정'하고 '상식'적인 모습인가?"라며 "공노총과 5개 연맹, 105개 단위노조는 하루가 멀다하고 전국 각지에서 임금인상을 위한 투쟁을 전개하고 있다. 조합원이든 비조합원이든 가리지 않고 응원과 지지를 보내고 있는 모습을 보면 그동안 공무원 노동자들이 정부로부터 얼마나 푸대접을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더 이상 공무원 노동자의 절규를 프레임 씌우려 하지 말고, 우리의 임금인상 요구안을 즉각 수용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총궐기대회에는 석현정 위원장과 안정섭 수석부위원장 등 공노총 6대 집행부와 공주석 시군구연맹 위원장, 이철수 국공노 위원장, 진영민 교육청노조 위원장, 강순하 광역연맹 위원장, 고진영 소방노조 위원장 등 5개 연맹 위원장이 함께했다.

김민성 시군구연맹 사무총장이 곤룡포를 착용하고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공노총 소속 5개 연맹 위원장이 공무원 임금을 정액제로 인상하라는 요구와 함께 '정률제 인상' '55%감액조정율' '6천3백원' '86%감액조정율' '찔끔찔끔 인상'이라는 문구가 적힌 상자를 격파했다.

안정섭 수석부위원장은 투쟁결의문을 낭독하며 "공무원연금공단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재직기간 5년 미만 퇴직 공무원 노동자 수는 1만 3,321명으로 2018년 5,670명 대비 2배 넘게 늘어났다. 또한 2022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결과, 재직기간 5년 이하 20~30대 공무원 노동자의 65.3%가 이직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5년 차 미만 공무원의 상당수가 공직을 그만두려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낮은 임금'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난 3년간 코로나 위기 극복이라는 명목으로 물가상승률에 턱없이 부족한 1% 남짓 '정률제' 임금인상을 고수해왔다. 물가는 무섭게 치솟았는데 공무원 임금은 고작 0.9%, 1.4%, 1.7% 인상에 그쳤다"고 했다.

이어 "우리의 요구는 고위공무원처럼 높은 보수를 달라는 투쟁이 아니다. 37만 7천 원 정액 인상, 바로 생활임금을 반영해달라는 생존의 외침이다! 170만 원 받아 청혼하기 힘들고, 190만 원 받아 아이 낳기 힘들다는 청년 공무원의 피 맺힌 절규를 더는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며 "점심 한 끼 1만 원 시대, 정액급식비 인상은 생존을 위한 당연한 요구이며, 대통령 직급보조비 월 320만 원, 보수와 수당을 탈탈 털어 합쳐도 대통령 한 달 직급보조비에도 못 미치는 하위직 공무원 노동자의 처참한 현실을 정부는 똑똑히 직시하라, 주말과 밤샘 노동을 해도 휴가를 포기한 채 업무에 매진해도 기준금액과 감액률로 터무니없는 수당을 지급하는 현실은 더는 참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액 인상! 보수 현실화! 실질소득 감소분 37만 7천 원 정액 인상 쟁취', '물가 반영! 식비 현실화! 점심 한 끼 1만 원, 정액급식비 인상 쟁취', '하후상박! 양극화 해소!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천 원 인상 쟁취', '제대로 된 노동 대가! 초과근무수당·연가보상비 근로기준법 적용 쟁취', '공무원노동조합 총단결! 반 공무원 정책 저지! 공무원 노동자 생존권 쟁취' 등의 구호를 함께 외쳤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91,000 ▲149,000
비트코인캐시 526,500 ▲2,000
이더리움 2,59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100
리플 3,204 ▼1
이오스 982 0
퀀텀 3,119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54,000 ▲46,000
이더리움 2,597,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110 ▲80
메탈 1,210 0
리스크 779 ▲7
리플 3,200 ▼6
에이다 1,000 ▼1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40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525,500 ▼1,000
이더리움 2,59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160 ▲140
리플 3,204 ▲1
퀀텀 3,100 0
이오타 300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