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풀타임’으로 일하는 청년층 취업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일자리 감소 뿐 아니라, 고용의 질(質)도 무너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시을)과 국회입법조사처가 함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4월 청년층(15~29세) 풀타임 취업자 수는 363만 5천65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 375만 4천789명 대비 11만 9천137명이 감소했다.
풀타임 취업자는 주 40시간 일한 것을 ‘취업 1명’으로 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이용하는 통계로, 전일제환산(FTE, full time equivalent)을 적용한 고용지표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20시간 일하면 0.5명, 80시간 일하면 2명으로 산출하는 방식으로, FTE 방식은 고용의 질을 판단할 때 유용한 방법이다.
김 의원은 “청년층 풀타임 취업자는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연속해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는 전년 동월 대비 1월(-11만 8천554명), 2월(-9만 8천76명), 3월(-4만16명) 등으로 감소세가 둔화됐지만, 지난 4월 다시 감소폭이 커지며 올해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청년층(15~29세) 풀타임취업자 현황>
연월 | 풀타임 취업자 | 전년 동월 대비 |
2023.04 | 3,635,652명 | -119,137 |
2023.03 | 3,663,713명 | -40,016 |
2023.02 | 3,609,630명 | -98,076 |
2023.01 | 3,597,769명 | -118,554 |
이에 김회재 의원은 “고용 한파로 청년 취업자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고용의 질(質)까지 무너지고 있다”며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