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쟁글, 제 2회 어돕션 통해 글로벌 기업들의 웹3 사업화의 현주소와 방향성 논의 外

기사입력:2023-05-16 15:20:06
[로이슈 편도욱 기자] 글로벌 인텔리전스 플랫폼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공동대표 김준우, 이현우)이 제 2회 어돕션(Adoption)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크로스앵글 관계자는 "올해 진행되는 어돕션 컨퍼런스는 7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에 걸쳐 진행되며, 크로스앵글, 글로벌 경영 컨설팅 그룹 베인앤드컴퍼니, 그리고 글로벌 미디어그룹 WWD KOREA가 공동 주관할 예정이며 서울 신라호텔에서 진행된다"라고 전했다.

또한 작년과 달리 올해 어돕션에서는 컨퍼런스와 IR 미팅뿐만 아니라, 웹1, 2 기업들에게 흥미로운 부스 전시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며, 컨퍼런스 세션의 주제는 크게 ▲다양한 산업별 대표적 국내외 글로벌 웹1, 2 기업들의 웹3 사업의 본격화를 위한 고민과 전략 방향 ▲웹3 영역의 대표적 기업들로 부터 사업의 실질적 수행을 위한 불분명한 중간지대(Grey Zone) 내 핵심 의사결정에 대한 인사이트로 두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국내외 대표 기업과 함께 웹3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필연적으로 거쳐야 할 의사결정과 시행착오의 경험을 나누는 “웹3의 서비스 적용을 위해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토론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주요 연사로는 스타벅스 오디세이 프로그램 총괄 담당자와 하이브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바이너리 코리아(Binary Korea), 아디다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굴지의 글로벌 전통 기업들이 참석해 작년에 이어 웹3 접목 사업 방향 및 전략을 더욱 내실 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행사를 주최하는 크로스앵글 김준우 대표는 “선례가 거의 없는 상황에도 불구, 다양한 산업군에서 혁신적인 웹3를 사업 및 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해 고민과 노력을 거듭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로의 시행착오를 나누고 교류할 기회를 제공코자 한다”며, “웹3의 거대한 흐름을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밝혔다.

◆HP, 게이밍 노트북 신제품 ‘HP OMEN 16 Slim' 공개

HP는 16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초경량 프리미엄 게이밍 노트북 ‘HP OMEN 16 Slim(HP OMEN 16 슬림)’을 공개하고 국내 게이밍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간담회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장 롤파크에서 진행됐다. LCK(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를 3년 연속 후원하며 선수들이 최상의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온 HP는 이번 간담회 장소를 게이머들의 성지인 롤파크로 정하며 국내 게이밍 업계 리딩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HP 코리아 김대환 대표, 소병홍 퍼스널 시스템 카테고리 전무를 비롯한 HP 구성원들은 이날 HP OMEN 16 Slim 출시 기자 간담회에서 HP의 국내 게임 사업 전략을 설명하고 신제품을 소개했다.

먼저 김대환 대표는 환영 인사를 통해 “HP는 ‘Future Ready 즉, 미래를 준비하자’라는 비전을 세우고,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신규 게이밍 PC 제품을 포함한 HP의 게이밍 라인업은 모든 사람이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이 시대에 맞춰 다변화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인벤티지랩-유바이오로직스, LNP CDMO 공동 사업화 계약 체결

마이크로스피어 장기지속형 주사제 및 지질나노입자(LNP) 연구개발/제조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389470, 대표이사 김주희)이 유바이오로직스(206650, 대표이사 백영옥)와 LNP 생산을 위한 위탁개발생산(CDMO) 공동사업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LNP는 mRNA, 유전자치료제 등의 불안정한 유전 물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세포 내부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이다. 최근 몇 년 간 코로나19 백신을 통해 그 유효성이 대규모로 검증된 바 있고, 백신은 물론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분야로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2,000개 이상의 LNP 관련 신약 파이프라인이 개발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향후 임상 시험약 생산 및 상업용 양산을 위한 위탁생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력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521,000 ▲197,000
비트코인캐시 528,500 ▲1,500
이더리움 2,623,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550 ▲160
리플 3,164 ▲1
이오스 1,053 ▲3
퀀텀 3,129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518,000 ▲222,000
이더리움 2,62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520 ▲130
메탈 1,189 ▼2
리스크 773 ▲3
리플 3,164 ▲2
에이다 1,011 ▲4
스팀 21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48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529,500 ▲3,000
이더리움 2,619,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550 ▲130
리플 3,164 ▲3
퀀텀 3,109 ▼28
이오타 30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