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라이다(LiDAR)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인 뷰런테크놀로지(대표 김재광, 이하 뷰런)가 글로벌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사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겠다고 27일 밝혔다.
뷰런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총사업비 700조원을 투입하여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현존하는 세계 최대 저탄소 스마트 도시 건설사업 ‘네옴시티 프로젝트’로 해당 시장이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시점에,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ITS 및 스마트 인프라 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라고 전했다.
뷰런은 자체개발 인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 자율주행 인지 솔루션 ‘뷰원’(VueOne)과 지능형 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및 스마트 인프라를 위한 인지 솔루션인 ‘뷰투’(VueTwo)를 공급하고 있다.
뷰런 김재광 대표는 “우리의 핵심 기술인 뛰어난 인지 솔루션을 바탕으로 ITS,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뷰투 솔루션을 무기 삼아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국내 및 해외 공항, 택시 승강장, 쇼핑몰 등 인구밀집지역에서의 대기열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실증을 이미 완료했다. 좋은 성과로 인해 추가 개소에 대한 설치뿐만 아니라 본 사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센스톤, LS일렉트릭과 인증보안기술로 PLC 국산화의 차별화를 위한 협력 도모
센스톤(대표 유창훈)은 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과 산업 자동화 시대의 통합 운영 및 제어를 위한 핵심 장비인 자동공정에서의 프로그래밍 제어장치의 외부 위협 사전 차단을 위한 개념검증(PoC)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제조업 생산 현장부터 고도의 시스템 운영 및 다양한 IoT 환경에 이르기까지 널리 확산되고 있는 PLC의 글로벌 공통 취약점 해결을 위해 협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PLC는 '사람 두뇌'에 비유될 만큼 자동화 설비 핵심 기기로 꼽힌다. 그런데 첨단 기술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의 PLC장비 외산 의존도는 80%에 달한다. 1년이 넘는 납기지연 뿐만 아니라, 보안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하고, 이미 글로벌 공통적으로 노출 되어있는 위협에 취약하여 국가 기반 시설의 사이버안보에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대기업인 LS일렉트릭은 순수 국산 보안기술로 글로벌 특허를 300개 이상을 보유한 센스톤과 PLC 국산화에 업계 최초로 근본적인 보안 이슈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하게 되었다.
◆에이치피오, 2022년 역대 최대 매출액 달성…사업 다변화 성공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덴프스(Denps)의 에이치피오(357230, 각자대표 이현용, 임성빈, 오승찬)가 24일 공시를 통해 2022년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한 1,960억 원으로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175억 원을 달성해 영업이익률은 9%를 기록했다. 4분기 매출은 485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 성장했다.
에이치피오의 매출 증가는 주로 자회사의 성장이 견인했다. ▲건강기능식품을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비오팜이 13%, ▲주니어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는 지오인포테크가 7%, ▲Denps 중국사업을 담당하는 덴프스상하이가 42%의 매출 성장을 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가 위축되고 사업적 불확실성이 높았던 중국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뷰런테크놀로지, ‘뷰투‘(VueTwo)로 해외 스마트시티 시장 공략 外
기사입력:2023-02-27 08:58:2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46,000 | ▼297,000 |
비트코인캐시 | 826,500 | ▼3,500 |
이더리움 | 6,525,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80 | ▼50 |
리플 | 4,308 | ▼10 |
퀀텀 | 3,607 | ▼2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19,000 | ▼303,000 |
이더리움 | 6,518,000 | ▼38,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30 | ▼100 |
메탈 | 1,013 | ▼8 |
리스크 | 531 | ▼2 |
리플 | 4,306 | ▼11 |
에이다 | 1,286 | ▼4 |
스팀 | 18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30,000 | ▼260,000 |
비트코인캐시 | 825,000 | ▼4,500 |
이더리움 | 6,525,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50 | ▼70 |
리플 | 4,307 | ▼9 |
퀀텀 | 3,593 | ▼56 |
이오타 | 27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