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LH가 3기 신도시 입주 전 광역교통개선대책 조기 이행을 위해 교통전문가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나섰다.
LH는 지난 17일 경기남부지역본부에서 이한준 LH사장, 국토도시개발본부장, 교통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도시 광역교통 현안 논의를 위한 교통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참석한 교통전문가는 △이수범 교수(서울시립대), 권영인 박사(한국교통연구원), 조응래 박사(전 경기개발연구원), 김대호 교수(홍익대), 이재훈 박사 (전 한국교통연구원), 강경우 교수(한양대), 오영태 교수(아주대)이다.
먼저 지난 2020년 12월 남양주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확정된 한강 횡단교량인 수석대교(가칭)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수석대교는 강동대교와 미사대교 사이에 신설되는 한강교량으로 남양주시와 하남시를 잇는다. 연장 1.2km의 4차로 교량으로, 수석대교 건설에 대해 하남시와 남양주시의 의견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남시는 ’퇴계원~판교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 교통여건 변화 발생에 따라 수석대교 신설에 대한 필요성 검증을, 남양주시는 수석대교의 조기 건설을 요구하는 입장이다.
LH는 이번 워크숍 이외에도 교통전문가 및 관련 지자체의 의견들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수석대교 신설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등 사업을 합리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인천계양지구와 부천대장지구의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에 대해 논의했다. 계양과 대장지구의 주요 개선대책은 김포공항역~박촌역~부천종합운동장역을 연결하는 S-BRT와 국도39호선(벌말로) 확장 등이다.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대장-홍대선과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된 S-BRT의 일부구간이 중복돼 이번 워크숍에서는 다양한 대안을 놓고 전문가와 함께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한편 LH는 2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만회대책을 마련하고,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을 조기에 완료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 중이다.
광역교통 특별대책지구로 지정된 수원호매실지구와 화성동탄2지구에 대해서는 서울방면 광역버스 확대 및 광역버스 정류장에 쉼터 등을 설치하고, 2층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등 입주민 교통불편 해소에 중점을 두고 있다.
LH는 이번 워크숍을 시작으로 교통전문가, 지자체 등과 적극 협의해 광역교통개선대책 현안사항 및 해결방안을 논의하고 입주민들의 교통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이 날 회의를 마치며 “3기 신도시 입주 전 광역교통개선대책 이행완료를 위해 교통전문가의 참여를 강화할 것”이라며 ”여건변화에 따라 광역교통개선대책이 불가피하게 변경되는 상황에 대해서 국토교통부, 대광위, 지자체 및 관련 전문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민첩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LH, 교통전문가와 ‘3기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 방안 논의
기사입력:2023-02-20 13:43: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100,000 | ▼53,000 |
비트코인캐시 | 514,000 | ▼1,000 |
이더리움 | 2,628,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90 | ▼80 |
리플 | 3,141 | ▼2 |
이오스 | 1,016 | ▼1 |
퀀텀 | 3,008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121,000 | ▼49,000 |
이더리움 | 2,628,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90 | ▼80 |
메탈 | 1,161 | ▲2 |
리스크 | 735 | ▼5 |
리플 | 3,141 | ▼4 |
에이다 | 991 | ▼4 |
스팀 | 20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09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513,500 | ▼1,500 |
이더리움 | 2,62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80 | 0 |
리플 | 3,140 | ▼3 |
퀀텀 | 2,998 | 0 |
이오타 | 29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