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전세가율이 80%를 육박한 지역 내 새 아파트 공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적은 만큼 돈을 좀 더 보태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올해 11월 기준 68.6%로 작년말(68.9%)보다 소폭 하락(0.3%p)했다. 반면 지방은 같은 기간 73.6%에서 73.8%로 오히려 상승(0.2%p) 곡선을 그렸다.
시·도별로 살펴봐도 수도권보단 지방의 전세가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서울의 전세가율은 집값의 절반 수준(56.9%)에 불과했으며 경기도 65.4%, 인천 67.8%로 조사됐다.
지방의 전세가율은 수도권과 달리 대제척으로 70%선을 넘어섰다. 지방 광역시 중에선 울산이 75.6%로 가장 높았으며 광주 75.0%, 대구 72.0%, 대전 70.2%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지방에선 경북과 전북이 80% 돌파를 목전(각각 79.8%, 79.1%)에 두고 있으며 충남(78.7%)과 충북(78.3%)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가율이 높으면 사실상 매매가격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실거주 목적이라면 돈을 좀 더 보태 내 집을 장만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보증금 회수가 어려워질 수 있는 등 깡통전세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택가격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고 전세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면 주택 구매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최근 분양시장에도 주변 전세가격 수준의 아파트들이 속속 등장해 눈여겨볼 만하다.
신세계건설은 울산 남구 신정동 일원에 ‘빌리브 리버런트’를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29층, 4개동, 총 311세대 규모에 전용면적 78·84㎡로 구성된다.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6억원 대로 책정됐다. 신정동 일대에서 올해 공급됐던 아파트들의 분양가가 8억~9억원대로 책정됐던 점을 감안하면 약 2억~3억원가량 저렴하다. 또 신정동에 ‘문수로2차 아이파크 2단지(2013년 입주)’ 84B㎡형이 지난 8월 6억원(10층)에 전세계약이 이뤄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분양가와 큰 차이가 없다.
현대건설은 대구 동구 신천동 일원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동대구 센트럴’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6층~지상 최고 36층(세대 기준 최고 35층), 아파트 4개동, 전용면적 84~124㎡ 481세대, 주거형 오피스텔 1개동, 전용면적 84㎡ 62실 등 총 543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롯데건설은 경남 창원시 의창구 사화동 일원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으로 공급하는 ‘창원 롯데캐슬 포레스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29층, 15개동, 전용면적 84·102㎡, 2개 블록, 총 1965세대 규모의 아파트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충북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 일원에 짓는 ‘음성 아이파크’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8개동, 전용면적 84·113·177㎡, 총 773세대 규모다. 금번에는 604세대를 일반에 분양하며,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3억5700만원(최고가)로 책정됐다. 인근 충북혁신도시 단지인 ‘모아엘가 더테라스’ 84㎡A 타입이 지난 6월 3억5000만원(11층)에 전세로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합리적이다.
효성중공업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일원에 ‘해링턴 플레이스 테크노폴리스’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47층, 5개동, 전용면적 84·94㎡ 아파트 602세대, 전용면적 84㎡ 오피스텔 130실 등 총 732세대, 상업시설 등으로 구성되며, 청주시에 첫 선보이는 브랜드 단지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경북·전북·울산’ 전세가율 80% 육박…“새 아파트로 갈아타자”
기사입력:2022-12-21 14:09: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03,000 | ▼35,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500 |
이더리움 | 2,590,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120 |
리플 | 3,175 | ▼6 |
이오스 | 991 | 0 |
퀀텀 | 3,101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60,000 | ▲1,000 |
이더리움 | 2,591,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40 | ▼110 |
메탈 | 1,209 | ▼1 |
리스크 | 778 | ▼2 |
리플 | 3,174 | ▼11 |
에이다 | 989 | ▼6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40,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1,500 |
이더리움 | 2,589,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30 | ▲90 |
리플 | 3,175 | ▼8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29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