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현대 산업화의 급격한 성장과 주택대량생산정책으로 공동주택의 확대 보급이 급증했다. 또한 건축기술의 발달과 핵가족의 변화로 건설된 주택 중 다수가 아파트 위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층아파트와 대단위단지를 조성함으로 인해 재난 발생시 안전성의 위험은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이 조사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전체 주택 중 아파트는 1166만 6천호로 전년 대비 37만5천호(0.7%) 증가했다. 연도별 주택 종류 추이를 보면 매년 꾸준히 증가세며 아파트 고도화도 심해지고 있다.
공동주택은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화재 시 다른 세대에서 조기에 인지하지 못해 피해가 커질 수 있고, 고층의 경우 대피 시간이 오래 걸려 다수의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05년 이후 사용 승인된 아파트에는 건축법령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이웃집으로 피난 할 수 있도록 경량 칸막이 또는 하향식 피난구 그리고 대피공간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앞서 말한 아파트 피난시설에 대해 알아보고 몇 가지 당부의 말을 드리고자 한다.
첫째, 경량칸막이는 파괴가 쉬운 얇은 석도보드 등으로 제작된 벽으로 여성이나 어린이도 위치만 숙지한다면 망치, 공구 또는 발로 강하게 가격하면 파괴가 되어 이웃집으로 대피할 수 있다.
둘째, 하향식 피난구 경우 아파트 발코니 등에 설치해 화재 시 피난사다리를 펼친 다음 아래층으로 피난하는 시설로 유사시 하향식 피난구를 개방, 사다리를 펼쳐 아래층으로 피난이 가능한 피난시설이다
셋쩨, 체류형 대피공간이다. 창고․보일러실과는 별개로 내화구조의 벽과 방화문으로 이뤄진 공간으로 화재에 1시간 이상 버틸 수 있어 방화문을 닫고 구조를 요청하면 된다.
우리는 평상시에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피난시설(대피공간, 하향식 피난구)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또한 집에 있는 피난시설을 확인하고 사용법을 숙지하길 바란다. 피난구의 전‧후면에 붙박이장, 세탁기 등의 장애물을 제거하여 피난 시 신속히 탈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2020년 9월 전남 광양의 48층 아파트 화재 시 44층에 거주하던 여성이 6개월 된 아이를 안은 상태에서 경량칸막이를 파괴하고 탈출해 생명을 구한 사례가 있다.
이처럼 평상시 피난시설을 인지하고, 유사시 피난할 수 있도록 조금의 관심만 기울인다면 나와 내 가족뿐만 아니라 우리 이웃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우리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피난시설(경량칸막이, 대피공간, 하향식 피난구)을 미리 확인하고 사용법을 알아두길 바란다.
-부산 강서소방서 정욱주 예방지도계장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기고]부산강서소방서 예방지도계장 "우리 집에서 불이 나면 어디로 피해야 할까"
기사입력:2022-02-22 17:39: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15.81 | ▼16.26 |
코스닥 | 711.26 | ▼8.96 |
코스피200 | 351.09 | ▼2.1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7,854,000 | ▼53,000 |
비트코인캐시 | 485,500 | ▼600 |
비트코인골드 | 161 | ▼128 |
이더리움 | 3,039,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50 | ▲50 |
리플 | 3,585 | ▲5 |
이오스 | 854 | ▼4 |
퀀텀 | 3,281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7,976,000 | ▲32,000 |
이더리움 | 3,039,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10 | ▼20 |
메탈 | 1,172 | ▼4 |
리스크 | 871 | ▼0 |
리플 | 3,581 | 0 |
에이다 | 1,096 | ▲4 |
스팀 | 20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7,830,000 | 0 |
비트코인캐시 | 483,900 | ▼2,100 |
비트코인골드 | 260 | ▼285 |
이더리움 | 3,03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90 | ▲50 |
리플 | 3,583 | ▲4 |
퀀텀 | 3,283 | 0 |
이오타 | 277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