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헌 의원, 처벌대상 구체화 ‘업무방해죄 악용방지법’ 발의

기사입력:2021-12-24 19:09:21
[로이슈 안재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국회의원(강원 원주을·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은 근로자나 사회적 약자의 단체행동권을 제약하는 조항으로 악용되고 있는 ‘업무방해죄’를 개선하는 내용의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4일 밝혔다.

형법 314조에 명시된 ‘업무방해죄’는 노동쟁의행위를 처벌하기 위해 19세기 프랑스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로 약자의 정당한 권리행사마저 처벌할 수 있는 반민주적 제도라는 비판과 함께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9세기, 20세기에 걸쳐 사라졌거나 사문화된 제도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방법 또는 위력으로써 사람의 사무를 방해한 자’라는 광범위하고 모호한 처벌 대상 규정과 함께 노동자, 소비자, 세입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행사와 의견개진을 위력으로 보아 업무방해죄로 처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실제로 우리 헌법은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등 노동 3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지만,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합법적 파업이라도 사용자 측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을 경우 업무방해죄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헌법으로 보장받는 기본권이 사법부에 의해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모순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미 여러 차례에 걸쳐 정부에 이에 대한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개정안은 형법 제314조 제1항의 ‘방법 또는 위력으로써 사람의 사무를 방해한 자'라는 모호하고 포괄적인 규정을 ‘위계 또는 위력으로 사람의 업무를 방해하여 생명, 신체, 재산, 경쟁 질서에 침해가 발생한 경우'로 구체화했다. 또 공무집행방해죄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업무방해죄를 위반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송기헌 의원은 “업무방해죄는 노동자의 단체행동을 제한하기 위해 19세기에 처음 도입된 제도로 노동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의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데에 악용될 수 있는 부분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제안 취지를 설명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60,000 ▲146,000
비트코인캐시 755,000 ▲500
이더리움 5,124,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31,520 ▲170
리플 4,320 ▲13
퀀텀 3,15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04,000 ▲104,000
이더리움 5,124,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1,530 ▲130
메탈 1,097 ▲6
리스크 636 ▲1
리플 4,317 ▲11
에이다 1,121 ▲5
스팀 20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7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755,000 ▲500
이더리움 5,13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31,550 ▲160
리플 4,319 ▲12
퀀텀 3,144 0
이오타 28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