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지 의원, 장애인 정보접근권 개선 ‘저작권법’ 개정안 발의

기사입력:2021-10-12 18:46:54
[로이슈 안재민 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예지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12일 시·청각장애인 등이 이용할 수 있는 대체자료로 변환하기 위한 저작물의 대상을 현행 어문저작물에서 전체 저작물로 확대하는 내용의 『저작권법 일부법률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저작권법상 시·청각 장애인 관련 조항은 1986년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저작권 제한 규정이 처음 도입되었고, 2013년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저작권 제한 규정이 포함되었다. 2013년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주도로 마라케시 조약(Marrakesh Treaty)이 마련된 이후 우리나라는 2015년 10월에 조약을 비준하고 2016년 9월부터 발효되었으나, 이후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국내 저작권 규정에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없었다.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플랫폼 및 매체 환경의 변화로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고 그 형태도 다양해졌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 격차는 심화되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도서의 경우 연간 5만 9,192건이 출판되었지만, 점자, 음성, 수어 등 대체자료는 11.7%(6,901권)가 제작되었고, 영화는 연간 1,693편이 개봉되었지만 한글자막 및 화면해설이 된 상영영화는 한국영화 30편(1.8%)에 불과했다. 인터넷, 모바일로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비교 집계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현행법상 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이 가능한 저작물의 대상은 어문저작물에 한정하고 있어 그 외에 악보, 그림, 사진, 표는 반영하지 못하고, 또한 영상매체 등으로 변화된 저작물의 소비 양상을 반영하지 않다 보니 장애인의 정보 불평등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에 김 의원이 발의한 저작권법 개정안은 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의 복제대상을 현행 어문저작물에서 전체 저작물로 확대하고,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과 그 보호인은 장애인의 개인적 이용을 위하여 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자료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저작물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는 내용을 담았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81 ▲22.74
코스닥 821.69 ▲1.02
코스피200 434.56 ▲3.4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3,000 ▼615,000
비트코인캐시 721,000 ▼2,000
이더리움 5,198,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33,630 ▲220
리플 4,916 ▲72
퀀텀 3,518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71,000 ▼505,000
이더리움 5,200,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33,590 ▲190
메탈 1,183 ▲1
리스크 683 ▲3
리플 4,908 ▲69
에이다 1,251 ▲5
스팀 2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60,000 ▼510,000
비트코인캐시 715,500 ▼8,000
이더리움 5,20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3,650 ▲210
리플 4,920 ▲70
퀀텀 3,525 ▲6
이오타 336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