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제품 포장백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로 교체

기사입력:2021-08-09 14:08:35
[로이슈 편도욱 기자] 롯데케미칼이 국내 업계 최초로 PCR-PE(재생 폴리에틸렌) 포장백을 자체 개발하여 올해 7월부터 자사 제품을 포장, 출고했다고 9일 밝혔다.

포장백의 원료인 PCR-PE는 고객사로부터 수거한 롯데케미칼의 PE(폴리에틸렌) 소재 폐포장백으로 제조된다. 회수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재생 플라스틱 원료로 만들어 포장백 제작 시 투입되며, 해당 포장백은 약 30%의 PCR-PE를 함유하고 있다. 일반 PE백과 유사한 수준의 물성을 구현해낸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PE백은 합성수지 제품의 포장재로 널리 활용되나, 폐기 후 낮은 품질의 원료로 재활용되거나 일반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롯데케미칼은 2021년부터 재생 플라스틱 포장백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했으며, 고객사의 협조를 받아 폐포장백을 회수 후 PCR-PE백용 원료를 생산하는 플라스틱 선순환 체계를 구축했다.

롯데케미칼은 여수공장에서 생산되는 월 3,000톤 상당의 내수용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제품 출하 시 PCR-PE 포장백을 시범적으로 적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PE, PP 등 제품 월 15,000톤 상당의 물량으로 적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PCR-PE 포장백에 투입되는 재생 플라스틱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황진구 대표는 "PCR-PE 포장백 도입으로 연간 300톤 이상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롯데케미칼은 생산, 판매 및 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플라스틱 선순환 구축에 앞장서겠다"이라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화장품 및 식품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PCR-PP(재생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개발하여 고객사에 공급 중에 있으며, 올해 2월 친환경 사업전략 『Green Promise 2030』을 발표하여 폐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판매량을 100만 톤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국내외 고객사의 재생소재 사용 증가 및 각종 환경규제 등에 대응하여 앞으로도 PCR(Post Consumer Recycled) 소재 개발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00,000 ▲372,000
비트코인캐시 738,000 ▲1,500
이더리움 4,99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0,130 ▲50
리플 4,177 ▲6
퀀텀 3,07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95,000 ▲335,000
이더리움 4,985,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30,170 ▲100
메탈 1,067 ▼3
리스크 625 ▲1
리플 4,177 ▲4
에이다 1,077 ▼2
스팀 19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3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737,000 ▼500
이더리움 4,994,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30,230 ▲90
리플 4,179 ▲6
퀀텀 3,074 0
이오타 27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