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울산지법 형사1단독 정한근 부장판사는 2021년 6월 3일 공사현장에 공사안내 입간판 등 안전시설물을 설치하지 않아 부직포로 덮힌 도로를 진행하다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사고 일으켜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게 각 금고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2020고단3096).
피고인 A(49)는 2019년 1월 7일경부터 2020년 12월 26일경까지 양산시청이 발주하고 주식회사 C가 시공하는 양산시 D 구역 일원의 ‘양산시 노후하수관로 정비사업’의 공사현장소장으로서 공사현장을 전체적으로 지휘하고 안전관리를 감독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이고, 피고인 B(54)은 위 사업의 건설 산업관리(감독권한대행) 용역업자인 주식회사 E에 근무하는 책임건설 사업관리 기술자로서, 공사현장에 상주하면서 이 사건 공사가 설계도서 등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품질관리·시공관리·안전관리 등에 대한 시공사 감독 업무를 담당했다.
위 공사현장 중 일부인 양산시 산막지구우수관로 3라인 공사 현장은 편도 2차로 중 1차로에 대한 노후 우수(빗물)관로 교체 공사 시행 후 자갈과 흙으로 혼합된 재료를 이용해 임시 도로 포장을 했고, 이후 아스팔트 포장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도로 표면이 평탄하지 않아 공사용 부직포로 뒤덮어 놓은 상태였다.
부직포는 차량이 통행하면서 쉽게 벗겨질 수 있고, 부직포가 벗겨질 경우 차량 바퀴의 하중으로 인해 쉽게 요철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었으며, 공사장 전후로 눈에 띄는 공사안내 입간판 등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여서 야간에 시야가 어두워진 운전자가 공사 현장인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경우 공사현장소장이자 안전관리책임자인 피고인 A, 안전관리에 관한 시공사 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피고인 B으로서는 공사현장 진입부분부터 안전표지대와 위험표지판, 라바콘, 안전유도로봇이나 야간점멸 전자화살 표시 등을 설치해 차량이 미리 서행하거나 조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신호수를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차량 운전자들이 공사부분임을 인식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야 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들은 안전시설물을 설치하지 아니한 채 만연히 부직포로 임시 조치만 해놓는 등 교통사고예방조치를 게을리 한 업무상 공동 과실로, 2019년 12월 27일 오전 6시 38분경 피해자(72세)가 125c 오토바이를 운전해 위 부직포로 덮인 도로를 진행하다 오토바이가 미끄러지면서 오토바이와 함께 균형을 잃고 바닥으로 전도되어 피해자로 하여금 그 충격으로 2020년 1월 2일 오전 7시 45경 병원에서 열린 두개내 상처가 없는 외상성 경막하 출혈 및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광대뼈 및 상악골의 상세불명 골절, 폐쇄성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피고인들 및 변호인은 이 사건 공사 현장에 부직포가 일부 찢어지고 요철이 발생되어 있었으나, 이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해 비로소 발생한 것이다. ‘공사현장 진입 부분부터 안전표지대와 위험표지판, 라바콘, 안전유도로봇이나 야간점멸 전자화살 표시 등을 설치하고 신호수를 배치’하는 것은 도로공사를 하면서 차량 통행을 통제하는 경우에는 적용되는 안전수칙으로, 이 사건 공사 현장처럼 도로를 가포장하여 통행차단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이 사건 공사 현장 주위에는 약 30m 마다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피해자가 어둠으로 인해 공사현장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 피해자가 넘어진 원인이 무엇인지 불분명하고, 피해자는 부직포로 덮인 구간 밖에서 미끄러지기 시작하여 부직포 위로 넘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설령 피고인들에게 업무상과실이 존재하더라도, 그로 인하여 이 사건 사고가 발생했다고 할 수도 없다고 했다.
정한근 판사는 ① 이 사건 공사 현장은 아스팔트 포장이 되지 않고 골재 등이 다져진 상태였고, 그 위에 부직포가 깔려져 있었으며, 주위 포장된 도로 부분과 높이도 차이가 있었던 점, ② 이륜자동차 등의 운전자가 도로의 포장된 부분에서 진행하다가 이 사건 공사 현장의 도로 상태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채 그곳으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 조향장치를 제대로 조작하지 못하거나 균형을 잃어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던 점, ③ 가로등이 도로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그 설치간격 등을 고려할 때, 어두운 새벽에 주행 중인 차의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사전에 명확히 인지하기는 어려웠던 상태였던 것으로 보이는 점, ④ 피고인들은 이 사건 공사 현장 주위에 안전표지판과 라바콘 등을 설치하여 운전자들에게 공사현장임을 알리고 서행과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가능한 공사부분 외의 부분으로만 통행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어야 하는 점, ⑤ 피해자의 오토바이가 전도된 위치 등을 고려할 때, 피해자가 부직포가 덮인 이 사건 공사현장에 서 넘어져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봄이 타당한 점을 종합하면, 피고인들의 업무상 공동과실로 피해자의 사망이라는 중한 결과가 발생했음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며 피고인들의 주장을 배척했다.
그러면서 "피고인들의 업무상과실로 피해자의 사망이라는 중한 결과가 발생했음에도 피고인들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피해자의 유족으로부터 용서를 받지도 못했으므로 피고인들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아니하다. 다만, 피고인 A는 이종의 벌금 전과 1회 외에는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고, 피고인 B은 초범인 점, 현재 민사소송이 진행되고 있고, 이를 통해 배상액이 정해지면 합당한 배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참작했다"고 양형이유를 설명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울산지법, 공사안내 입간판 미 설치 부직포로 덮은 도로서 오토바이 사망 사고 현장소장 등 '집유'
기사입력:2021-06-10 12:40:0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5.91 | ▼14.66 |
코스닥 | 734.35 | ▼4.70 |
코스피200 | 349.68 | ▼2.1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799,000 | ▲177,000 |
비트코인캐시 | 561,000 | ▼500 |
이더리움 | 3,648,000 | ▲2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50 | ▲120 |
리플 | 3,558 | ▲7 |
이오스 | 1,097 | ▼2 |
퀀텀 | 3,470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858,000 | ▲236,000 |
이더리움 | 3,64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80 | ▲40 |
메탈 | 1,232 | ▼1 |
리스크 | 784 | ▲2 |
리플 | 3,558 | ▲6 |
에이다 | 1,119 | ▲4 |
스팀 | 22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76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561,500 | ▼500 |
이더리움 | 3,648,000 | ▲2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90 | ▲60 |
리플 | 3,557 | ▲6 |
퀀텀 | 3,545 | 0 |
이오타 | 33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