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重, 해양 용융염원자로 기술 개발 본격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해양 원전 기술개발 협약 체결 기사입력:2021-06-09 14:13:45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왼쪽)과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개발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사진=삼성중공업)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왼쪽)과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개발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사진=삼성중공업)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삼성중공업이 ‘탄소 제로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해양 원전 기술 개발을 본격화했다.

삼성중공업은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과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유일 원자력 종합연구개발 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해양 용융염원자로(MSR∙Molten Salt Reactor) 개발 및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상호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삼성중공업은 미래 신사업 확장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MSR 기반 부유식 원자력발전 플랜트 및 원자력추진선박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

협약에는 △MSR 요소 기술 및 열교환기 등 관련 기자재 개발 △해양 원자력 제품 설계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성능 검증, 경제성 평가 등을 위한 공동 연구 방안이 담겼다.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MSR은 최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제로 에너지원으로 관심이 높은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e Reactor)의 일종으로, 핵연료의 사용 주기가 20년 이상으로 선박 수명 주기와 같아 한 번 탑재 후 교체가 필요 없으며, 원자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선박 적용이 용이하다는 게 장점이다.

또 원자로 내부에 이상 신호가 생기면 액체핵연료인 용융염이 굳도록 설계되어 중대 사고를 원천 차단해 안전성이 높고, 고효율 전력과 수소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어 차세대 그린 수소 생산 기지 등 활용 분야도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사장은 “MSR은 기후 변화 이슈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 삼성중공업의 비젼과 부합하는 차세대 기술이다”며 “MSR이 현재 연구개발 중인 암모니아, 수소 기술과 함께 삼성중공업의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789,000 ▲294,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500
이더리움 2,612,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110 ▲30
리플 3,185 ▲3
이오스 976 ▼4
퀀텀 3,107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794,000 ▲249,000
이더리움 2,61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50
메탈 1,212 ▼2
리스크 787 ▼2
리플 3,188 ▲6
에이다 998 ▲3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40,000 ▲29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500
이더리움 2,609,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160 ▲80
리플 3,187 ▲3
퀀텀 3,065 0
이오타 30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