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시장, 희소성에 ‘중대형’ 인기…2분기 신규 분양단지는?

중대형 평형 전체 6% 내외로 희소성 높아…가격도 경쟁력 갖춰
1분기 수도권 전용 84㎡ 초과 중대형 청약 경쟁률 ‘평균 42대 1’
기사입력:2021-04-27 14:00:55
경기 광주 오포자이 디 오브 투시도

경기 광주 오포자이 디 오브 투시도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청약시장에서 희소성 높은 중대형 평형의 인기가 계속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 이어진 규제 여파로 중대형 공급 부족을 비롯해 ‘집콕족’ 증가로 중대형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들에게 선호도 높은 대형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의 중대형 평형은 청약 경쟁률은 물론 가격 경쟁력에서도 우위를 나타내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에서 공급된 전용면적 84㎡ 초과 중대형 평형의 가구수는 4126가구다. 이는 1분기 전국에서 공급된 6만3738가구의 6.4% 수준이다. 범위를 2020년 한해로 넓혀봐도 중대형 평형은 지난해 전국에서 공급된 전체 가구수 35만9636가구의 6.5%(2만3660가구)에 이를 정도로 비중이 작다.

이처럼 높은 희소성에 중대형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중소형 평형보다 매매가가 높게 형성되거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우도 많다.

KB국민은행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3월 기준 전국 중대형(전용 95.9㎡ 이상~135.0㎡ 미만)의 매매가격지수는 119.5로 나타났다. 중형(62.8㎡~95.9㎡ 미만)의 매매가격지수도 119.8로 각각 전월 대비 1.86%, 2.13% 증가했다. 이는 중소형(40㎡ 이상~ 62.8㎡ 미만) 112.9, 소형 (전용 40㎡ 미만) 109.1 보다 높은 수준이다. 보통 지수가 100 이상이면 가격 상승, 100 이하는 하락을 뜻한다.

청약 시장에서도 중대형 평형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 현재까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분양한 전용 84㎡ 초과 중대형 타입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2.5대 1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3월 경기도 수원에서 공급된 ‘북수원자이 렉스비아’ 전용 99.54㎡은 148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마감을 기록했다.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중대형 평형은 대부분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다. 희소성 높은 중대형 평형과 브랜드가 만나면서 시너지 효과까지 일어난 것이다. 이와 함께 각종 부동산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커진 것도 중대형 아파트 인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팬더믹의 여파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넓은 집을 원하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신규 아파트 공급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중대형 평형의 공급이 줄어들면서 희소성이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과거와 달리 가족 구성원과 관계없이 넓은 공간을 활용하고 싶어하는 중대형 평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며 “더욱이 최근 팬더믹의 여파로 재택 근무 등 집콕족이 증가하는 반면에 중대형 공급량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해 희소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2분기 희소성 높은 중대형 평형을 갖춘 아파트 공급이 예정되어 있어 관심을 모은다.

GS건설은 5월 경기 광주에서 전용면적 62~104㎡, 지하 2층~지상 23층, C-3블록 6개동 447가구, C-4블록 7개동 448가구 등 총 895가구 규모로 조성하는 ‘오포자이 디 오브’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전용 84㎡ 초과 중대형 평형부터 중소형 평형까지 다양한 평형을 갖춰 선택권을 제공한다. 2022년 개통 예정인 세종~포천 고속도로 오포 IC가 인접해 서울 접근이 편리하며, 판교와 분당 생활권은 물론 태전지구 등 멀티 생활권도 갖췄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충남 아산시 아산모종1지구 내 공동주택사업인 ‘힐스테이트 모종 네오루체’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최고 27층, 9개동, 전용면적 74~99㎡ 총 927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111가구가 공급되는 전용 99㎡의 경우 5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9.55 ▲0.19
코스닥 800.32 ▼1.34
코스피200 429.47 ▲0.6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945,000 ▲513,000
비트코인캐시 778,000 ▲11,500
이더리움 6,455,000 ▲81,000
이더리움클래식 30,600 ▲390
리플 4,211 ▲28
퀀텀 4,013 ▲3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932,000 ▲528,000
이더리움 6,461,000 ▲88,000
이더리움클래식 30,670 ▲460
메탈 1,018 ▲13
리스크 540 ▲5
리플 4,215 ▲34
에이다 1,220 ▲17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860,000 ▲460,000
비트코인캐시 776,000 ▲5,500
이더리움 6,460,000 ▲90,000
이더리움클래식 30,680 ▲470
리플 4,212 ▲29
퀀텀 4,023 ▲38
이오타 27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