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는 11월 19일 오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AI(인공지능) 융합 기반 글로벌 신산업 분야를 주도할 핵심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고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및 AI대학원 개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부산대는 올해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AI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돼 3년간 총 사업비 49.5억 원(국비 41.25억 원, 부산대와 부산시 지원금 각각 4.125억 원)을 지원받아 대학원에 AI전공(정보융합공학과)을 설치하고, 지난 9월 24명의 첫 석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하는 등 AI 전문가 양성에 나서고 있다.
부산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센터장 송길태·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팩토리 등 산학연 기반 인공지능 융합 연구에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탄탄한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AI 융합에 특화된 딥러닝응용,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분석 등의 AI 핵심 및 응용 기술을 AI대학원 커리큘럼에 녹아들 수 있도록 했다.
향후 센터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USC(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스코, 부산대학교병원, 코렌스 등 46개 국내외 유수 기관과의 협력할 방침이다.
이들 협력기관과의 산학연 협력을 통해 동남권 주요 전략 산업에 특화된 AI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지역 주요 산업의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부산대는 이날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와 AI대학원 개원을 기념해 부산대의 AI 연구 및 인재 양성 전략 발표 및 현판 증정식을 가졌다.
특히 이날 행사장에는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과 박성훈 부산시 경제부시장 및 부산시 산하 유관기관장과 협력업체를 초청해 부산대 AI융합연구센터 및 AI대학원의 비전을 공유하고 국가 차원의 AI 핵심 고급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송길태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장은 “이번 계기를 통해 ‘스마트 헬스케어’ 및 ‘스마트 팩토리’ 분야 AI 융합 기술 확산으로 부산시가 AI 융합 기반 미래 먹거리 신산업의 중심지로서 차세대형 AI 중심 스마트시티로 거듭나는 한편, 부산대는 세계적인 인공지능 융합 연구와 교육의 메카이자 베이스캠프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부산대,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및 AI대학원 개원
동남권 특화된 신성장 AI 융합 핵심 인재 양성 베이스캠프 기사입력:2020-11-19 14:27:2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17.51 | ▲2.98 |
코스닥 | 832.35 | ▼0.65 |
코스피200 | 450.22 | ▲0.1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556,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804,000 | ▼4,000 |
이더리움 | 6,083,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50 | ▲90 |
리플 | 4,171 | ▼1 |
퀀텀 | 3,605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628,000 | ▼274,000 |
이더리움 | 6,078,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50 | ▲70 |
메탈 | 1,007 | ▲1 |
리스크 | 526 | ▼1 |
리플 | 4,169 | ▼5 |
에이다 | 1,237 | ▲2 |
스팀 | 18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59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804,000 | ▼3,500 |
이더리움 | 6,08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9,350 | ▲60 |
리플 | 4,173 | ▲3 |
퀀텀 | 3,628 | ▲13 |
이오타 | 2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