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서부발전은 11일 대한전기학회가 개최한 '2019년 발전연구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발전설비 해외 기자재 국산화에 대한 방향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등 국산화 기술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최근 해외 국가 수출규제의 대안으로 핵심부품 국산화가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전환시대, 발전설비 국산화 확대 및 경쟁력 강화'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에서 서부발전은 국산화율에 대한 개념 정립부터 국산화 개발완료 이후 환류까지의 일련과정을 공유함으로서 발전설비 국산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발표내용에 따르면, 서부발전은 5대 핵심설비와 3대 소모성 기자재를 중점 추진 국산화 대상으로 선정한 뒤, 단계별로 설정된 목표와 세부 추진방안에 따라 발전기자재를 국산화해 나갈 계획이다. 5대 핵심설비란 보일러, 터빈, 펌프 팬, 밸브 모터, 제어설비이며, 3대 소모성 기자재란 발전용 필터, Sealing 자재, 체결연결자재이다.
기술 개발 난이도와 중요도가 높은 핵심부품은 'R&D 국산화 방식'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현장 교체수요가 많고 국내기업의 기술만으로 제조 가능한 부품은 '현장 국산화 방식'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발전산업 분야 신규진출 희망 기업들에게 '국산화 현장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진입장벽을 과감히 제거하는 한편, 서부발전이 가동 중인 발전설비를 통해 국산화 개발에 성공한 시제품을 실증할 수 있도록 Test-bed를 지원한 후, 실증에 성공한 중소기업에게 '실증 확인서'를 발급하여 판로개척을 지원한다.
또한, 국산화 실패에 대한 면책 권한을 보유한 '국산화위원회'를 설치하여 현장실무자의 국산화 도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시키는 것은 물론, 국산화에 성공한 경우, 그 성과를 제도적으로 보상하는 '국산화 성과 보상제도'를 도입하여 국산화 추진 원동력을 부여한다.
서부발전은 이날 발표한 ‘국산화 추진 프로세스’를 보다 세밀하게 구축해 나갈 계획이며, 아이디어 발굴과 이에 따른 기술지원이 필요한 국내 중소기업들과 적극 협업하여 국산화 개발의 효과를 극대화화해 나갈 방침이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서부발전, '발전연구회 학술대회' 참석 및 국산화 추진 선도 경험과 노하우 공유
기사입력:2019-11-11 18:51:5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15.28 | ▲13.25 |
코스닥 | 812.88 | ▲13.51 |
코스피200 | 434.78 | ▲2.2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67,000 | ▲663,000 |
비트코인캐시 | 671,000 | ▲3,000 |
이더리움 | 4,18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240 | ▼50 |
리플 | 3,952 | ▲1 |
퀀텀 | 3,105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96,000 | ▲714,000 |
이더리움 | 4,186,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320 | 0 |
메탈 | 1,075 | ▲6 |
리스크 | 605 | ▲3 |
리플 | 3,959 | ▲7 |
에이다 | 1,001 | ▲2 |
스팀 | 19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00,000 | ▲640,000 |
비트코인캐시 | 673,000 | ▲5,000 |
이더리움 | 4,185,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260 | ▼40 |
리플 | 3,954 | ▲3 |
퀀텀 | 3,136 | 0 |
이오타 | 30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