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가희 기자]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종익)는 학계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고려 전기로 추정되는 마애약사불좌상을 경상남도 고성 거류산에서 발견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거류산에서 직접 조사하여 발견한 마애약사불좌상은 크기 약 5m의 큰 바위 서쪽 평평한 면에 높이 254㎝ 크기로 새겨져 있으며, 얇은 선으로 새긴 신체 위에는 가사(袈裟)가 이중착의(二重着衣)로 걸쳐진 형식이다.
상반신을 보면, 오른손을 어깨까지 들어 올린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고 있으며, 왼손에 보주(寶珠, 장식구슬)를 든 약사불이다. 하반신은 큰 연꽃을 엎어 놓은 모양의 무늬(복련, 覆蓮)가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로 좌선한 형태다.
이번에 발견한 마애약사불좌상의 주요 특징은 둥글넓적한 얼굴에 과장된 이목구비, 짧고 선명한 목에 세 개의 줄(삼도, 三道), 부조(浮彫, 돋을새김)로 새긴 머리와 얇은 선으로 표현한 몸 등이다. 이는 고려 시대 전기 마애불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
마애약사불이 발견된 거류산의 정상(해발 571m)에는 통일신라 시대의 석축산성인 거류산성(경남 문화재자료 제90호)이 있고, 정상에서 북쪽으로 향하는 약 580m 떨어진 봉우리(해발 380m) 사면에는 커다란 암석군이 산재한다.
이중 제일 큰 암석 전면에 이 마애약사불이 새겨져 있으며, 불상이 새겨진 암석의 윗면은 약간 오목한 형태인데 원형의 암석(지름 약 1.2m)이 하나 놓여 있다.
김가희 기자 no@lawissue.co.kr
경남 고성서 고려 전기 추정 '마애약사불좌상' 발견
기사입력:2019-04-04 12:28: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07.33 | ▲30.06 |
코스닥 | 725.40 | ▲2.88 |
코스피200 | 347.08 | ▲5.5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897,000 | ▲253,000 |
비트코인캐시 | 575,000 | ▲8,000 |
이더리움 | 3,478,000 | ▲3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90 | ▲320 |
리플 | 3,562 | ▲64 |
이오스 | 1,237 | ▲5 |
퀀텀 | 3,569 | ▲3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780,000 | ▲29,000 |
이더리움 | 3,475,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80 | ▲330 |
메탈 | 1,256 | ▲13 |
리스크 | 800 | ▲12 |
리플 | 3,560 | ▲57 |
에이다 | 1,138 | ▲13 |
스팀 | 22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86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74,500 | ▲7,000 |
이더리움 | 3,471,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80 | ▲290 |
리플 | 3,562 | ▲63 |
퀀텀 | 3,551 | ▲31 |
이오타 | 33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