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의 혁신성장 지원 발표

기사입력:2019-03-31 13:01:00
사진=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

사진=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한국금융투자협회(이하 금투협)는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 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혁신성장 지원 규모 등 향후 계획을 31일 밝혔다.

금투협에 따르면 지난해 자본시장이 실물경제 발전을 위해 ’대출‘(간접금융)이 아닌 ’투자‘(직접금융)의 형태로 중소․혁신기업(대기업 집단 제외한 기업)에 공급한 자금 규모는 총 21.4조원(IPOㆍ유상증자 4.2조원, 회사채 등 9.9조원, 자기자본투자(PI) 5.7조원, 펀드 1.6조원 등)으로 추산된다.

금융투자업계는 그간 ▲증자 등을 통한 대형화 ▲중기특화증권사, 전문사모운용사 등을 통한 전문화와 더불어 ▲해외 네트워크 구축 확대를 통한 글로벌화를 추진하면서 혁신기업 초기단계부터 M&A, IPO 등을 통해 다양한 자금조달 수단을 마련․제공하는 투자은행으로 진화 중이며, 단순 자금공급에 그치지 않고, 혁신성 있는 비상장기업 발굴, 회계․법률서비스 자문 지원, 경영컨설팅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지원 역량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정책당국도 증권사 건전성 규제 개선, 코스닥시장 활성화, 자본시장 세제개편 등이 포함된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발표하는 등 혁신자본의 투자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투협 관계자는 ”향후, 국회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금융 정책이 시행되고 금융투자업계의 노력이 더해지면 혁신기업 IPO 증가, 증권사 IB역량 강화, 창의적인 투자상품(BDC 등) 출시, 시장 player 증가(전문투자자 등) 등의 효과가 나타나며 중소․혁신기업에 대한 혁신자본 공급 규모가 향후 5년간 125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권용원 금투협회장은 “자본시장을 통한 혁신자본 투자가 확대되려면 단기금융업무에 대한 조속한 인가, ’자본시장 혁신과제‘등 정책의 신속한 입법․시행, 기금형 퇴직연금제도 도입과 투자손익을 통산하는 세제개편이 필요하며, 이러한 혁신금융 정책은 부동산과 안전자산에 치우친 가계자산과 1,100조원의 부동자금을 성장잠재력 높은 자본시장으로 유도하는데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금융투자업계는 기업과 자본시장의 혁신성장을 지원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준보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86.19 ▲17.54
코스닥 872.21 ▼2.15
코스피200 481.54 ▲3.2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75,000 ▲296,000
비트코인캐시 799,500 ▲2,000
이더리움 5,970,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6,970 ▲50
리플 4,068 ▲1
퀀텀 3,114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17,000 ▲409,000
이더리움 5,972,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7,000 ▲110
메탈 940 ▲6
리스크 458 ▲1
리플 4,070 ▲5
에이다 1,170 ▲4
스팀 17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90,000 ▲320,000
비트코인캐시 798,500 ▲1,000
이더리움 5,97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6,970 ▲110
리플 4,066 0
퀀텀 3,112 0
이오타 251 ▲6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