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report] 성인이 수면 부족하면 골관절염 유병률 두 배 이상?

기사입력:2018-09-08 11:28:53
(사진=로이슈DB)

(사진=로이슈DB)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임한희 기자] 성인의 수면 시간 부족이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 유병률을 두 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면 부족은 우울ㆍ비만 위험을 높이는 데도 기여했다.

8일 대구보훈병원 가정의학과 정래호 박사팀에 따르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 성인 1만3316명의 수면시간과 골관절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이 연구결과(만 3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골관절염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제 6기(2013-2015년))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성인의 16.4%(2364명)가 하루 6시간 미만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6∼8시간 수면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77.7%, 1만75명), 8시간 초과는 5.9%(877명)였다.

수면시간에 따라 우울의 비율도 차이를 보였다. 6시간 미만 자는 사람과 8시간 넘게 자는 사람의 비(非)우울 비율은 각각 81.9%ㆍ83.4%로, 하루 6∼8시간 자는 사람(90.7%)보다 낮았다.

비만율도 수면시간의 영향을 받았다. 하루 6시간 미만 자는 사람의 비만율이 38.8%로, 6∼8시간 자는 사람(33.4%)이나 8시간 넘게 자는 사람(33.2%)보다 높았다.

성인의 수면 시간은 골관절염 유병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루 6∼8시간 자는 사람의 골관절염 유병률이 최저(7.8%)를 기록했다. 8시간 넘게 자는 사람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12.7%, 6시간 미만 자는 사람은 16.7%로, 6∼8시간 자는 사람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성인의 수면시간 부족과 골관절염 사이에서 연관성이 드러났다”며 “골관절염 통증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수면장애 문제를 적극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골관절염으로 인한 야간 통증과 자극은 깊은 수면 상태로의 진행을 방해하고 수면 중 또는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깨어나게 한다. 역으로 수면 장애도 골관절염 통증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73,000 ▲268,000
비트코인캐시 822,500 ▲3,500
이더리움 6,363,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160
리플 4,226 ▲5
퀀텀 3,618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90,000 ▲162,000
이더리움 6,357,000 ▲28,000
이더리움클래식 30,010 ▲190
메탈 1,001 ▲1
리스크 528 ▲2
리플 4,228 ▲3
에이다 1,249 ▲4
스팀 18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5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823,500 ▲5,000
이더리움 6,36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80 ▲180
리플 4,228 ▲10
퀀텀 3,630 ▲26
이오타 27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