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한국인의 성(性)생활 만족도가 세계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텐가(TENGA)’가 시장조사기업 펜션벌랜드(PSB)에 의뢰해 진행한 ‘2018 글로벌 자위행위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를 기준으로 응답자의 성관계 및 자위 만족도·빈도, 성적능력, 파트너와의 교감 등을 종합 평가한 성생활 만족도 지표(The Good Sex Index)에서 한국은 40.7점으로 조사대상 18개국 중 17위를 차지했다. 이는 조사국 평균(62.3점)에도 크게 미치지 못한 수치다.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일본(37.9점)이다.
이번 조사는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세계 18개국의 18-74세 성인남녀 13,000명(한국 1,000명)을 대상으로 각국의 성생활 및 인식, 자위, 성교육, 건강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올해 3월에 진행됐다.
세부적으로 한국인의 성생활 만족도를 살펴보면, ‘성관계 빈도’에 대한 만족도(매우·다소 만족스럽다는 응답률)가 37%로 가장 낮았다. 이어 ‘자위 빈도’에 대한 만족도가 39%, ‘나의 성적욕구에 대한 파트너의 관심’, ‘본인의 성적 능력’에 대한 만족도가 각각 42%를 기록했다. 특히 ‘성관계 빈도’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체 18개 조사대상국에서도 가장 만족도가 낮은 요소로 드러났다.
반면, 한국인이 성생활에서 비교적 만족하는 항목으로는 ‘파트너와의 감정적 연결’이 50%, ‘성 관계할 때의 만족도’가 49%, ‘전반적인 오르가즘 만족도’가 48%로 조사됐으며, 이는 한국인이 성생활을 통해 육체적 만족만큼이나 정신적인 교감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파트너와의 감정적 연결’은 중국과 대만에서도 가장 높게 응답됐으며, 이는 동양권에서 감정적 연결이 성생활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밖에 한국인의 54%는 관계유지를 위해 파트너와 성관계를 맺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는 18-34세 43%, 35-54세 55%, 55세 이상에서는 68%가 그렇다고 답해,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관계 유지를 위한 성관계가 많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인식에 관련된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성병 예방과 피임에 대한 적극성이 세계 평균 대비 다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은 ‘성병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라는 질문에 81%가 동의(매우·다소 동의한다는 응답률)했으며, ‘계획에 없는 임신을 막기 위해 피임을 할 것이다’에는 79%가 그렇다라고 답했는데, 이는 세계 평균치보다 각각 8%, 6% 낮은 수치다. 더불어 ‘성적으로 파트너를 만족시키는데 자신있다’, ‘성경험의 질에 만족한다’, ‘다양한 성경험에 만족한다’ 등의 성적 태도에 대한 질문에도 세계 평균치 보다 20% 이상 크게 하회했다.
텐가 글로벌 마케팅 매니저 ‘에디 마크루(Eddie Marklew)’는 “세계 각국의 성생활과 인식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성을 너무 무겁거나 가볍게 여기지 않고 올바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조사 취지를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의 전문은 2018 텐가 글로벌 자위행위 실태조사 홈페이지(selfpleasurereport.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한국인의 성 건강, 자위실태, 성 교육 등을 주제로 매월 조사 보고서를 공개할 계획이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한국인 성(性)생활 만족도 '세계 최하위권'
기사입력:2018-05-31 09:51: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221.87 | ▲114.37 |
| 코스닥 | 914.55 | ▲14.13 |
| 코스피200 | 599.03 | ▲19.57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323,000 | ▼476,000 |
| 비트코인캐시 | 780,000 | ▼6,500 |
| 이더리움 | 5,538,000 | ▼3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830 | ▼220 |
| 리플 | 3,591 | ▼25 |
| 퀀텀 | 2,664 | ▼36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300,000 | ▼549,000 |
| 이더리움 | 5,541,000 | ▼3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850 | ▼200 |
| 메탈 | 636 | ▼1 |
| 리스크 | 289 | ▼2 |
| 리플 | 3,591 | ▼26 |
| 에이다 | 859 | ▼14 |
| 스팀 | 119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0,390,000 | ▼340,000 |
| 비트코인캐시 | 776,000 | ▼9,500 |
| 이더리움 | 5,540,000 | ▼3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760 | ▼280 |
| 리플 | 3,589 | ▼23 |
| 퀀텀 | 2,670 | ▼29 |
| 이오타 | 209 | ▲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