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공, 금융·복지·재창업 통합 지원체계 구축…중소기업 성장 판 바꾼다

기사입력:2025-11-12 20:24:42
[로이슈 전여송 기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이 단순히 자금을 나눠주는 기관을 넘어, 한국 중소기업의 성장 방향을 이끄는 핵심 지원 기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진공은 2025년 정책자금 융자계획을 통해 미래 산업 육성과 수출 경쟁력 확보에 자원을 집중하고, 인력·복지 지원을 금융정책과 연계하는 새로운 지원 체계를 추진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정책자금 운용의 우선순위 조정이다.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2025년 정책자금 지원규모는 융자 5조 280억 원, 이차보전 6,027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 중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총 3,825억 원을 배분하며, 이는 2024년 지원 규모(1,894억 원) 대비 약 2,000억 원이 증액된 규모다. 이처럼 증액된 자금은 수출 경험이 부족한 초보 기업에게도 배분될 예정이다.

또한 중진공은 지난 1월부터 시행된 새 자금 계획에 따라 ‘Net-Zero 유망기업 지원자금’을 신설했다. 이는 친환경 제조와 그린 기술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업을 집중 지원하는 제도로, 중소기업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흐름에 발맞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국가 전략 산업 육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원전 협력 기업이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 정부 정책에 따른 우대 기업에게는 기존 기업당 한도(60억 원)보다 큰 최대 100억 원까지 정책자금을 확대해 대규모 기술 투자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진공은 민간 투자와 연계한 혁신 기업 지원도 강화한다. 규제 혁신 기업의 사업화 및 글로벌 진출을 돕기 위해 개최된 지난 6일 ‘규제자유특구 IR Day’ 행사가 그 예다. 우수 기업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과 함께 최대 20억 원의 성장공유형 자금을 연계 지원한다.

한편, 인력과 복지 격차 해소를 위한 제도도 한층 발전했다. 대·중견기업과 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공모형 상생협력 공제’를 확대해 중소기업의 내일채움공제 부담을 나눈다. 올해부터는 중진공 연수시설을 활용한 복지시설 바우처 제도를 도입해 가입 기업 근로자들에게 더 나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중진공은 기업들에 맞는 맞춤형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하고 있다. 지난 7일 경북 영주에서 열린 ‘찾아가는 현장소통 간담회’에서는 지역 소멸 위기 및 현안에 대응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재창업자들에게는 지난해부터 중진공이 전담하고 있는 성실경영평가 제도를 통해 데이터 기반 통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재도전 혁신 플랫폼을 통한 실패 경험의 자산화를 유도하고 있다.

중진공은 이처럼 정책 자원의 집중과 지원 체계의 통합을 통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든든한 성장 파트너로서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53.26 ▼151.59
코스닥 863.95 ▼27.99
코스피200 540.36 ▼23.8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004,000 ▼1,536,000
비트코인캐시 699,000 ▼7,500
이더리움 4,080,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19,660 ▼180
리플 2,895 ▼26
퀀텀 2,252 ▼4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010,000 ▼1,552,000
이더리움 4,07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19,690 ▼160
메탈 592 ▼6
리스크 270 ▼3
리플 2,898 ▼24
에이다 615 ▼8
스팀 104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000,000 ▼1,550,000
비트코인캐시 700,500 ▼6,500
이더리움 4,078,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19,680 ▼140
리플 2,896 ▼24
퀀텀 2,250 ▼25
이오타 168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