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이금속 텔루륨화합물을 활용한 새로운 산소발생반응용 전기화학 촉매 설계 방법을 개발해, 친환경 수소 생산의 효율을 높이고 고가의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홍익대학교 이원규, 송봉근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인수 박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MoTe₂(몰리브덴 다이텔루라이드)의 상변화 및 금속 수산화물의 계면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자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 설계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전이금속이란 주기율표 3~12족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광택이 있고 전기·열전도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텔루륨화합물이란 텔루륨(Te) 원소를 포함한 화학물질이다. 반도체·전자소재, 합금첨가제, 고무경화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MoTe₂(몰리브덴 다이텔루라이드)란 몰리브덴(Mo)과 텔루륨(Te)으로 이뤄진 이차원 반도체 물질로, 원자층 수준의 두께를 가지며 전자·광학적 특성이 우수해 차세대 트랜지스터나 광소자 등에 활용 가능성이 큰 소재다.
초박막 반도체 소자로 활용되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은 우수한 전자 전달성 및 조절 가능한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값비싼 귀금속 수전해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이금속 화합물의 표면에 산소 중간체들이 잘 달라붙거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전해 과정의 핵심 표면화학반응 중 하나인 산소발생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역할에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전이금속 텔루륨 화합물의 결함을 조절하고, 물질의 상변환을 유도해 새로운 형태의 기저 촉매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촉매는 금속 수산화물과 결합해 독특한 이종접합구조를 이루었으며, 값비싼 귀금속 촉매보다 우수한 산소발생반응 성능을 보였다.
또한 기저촉매와 금속 수산화물 사이의 강한 결합으로 기존 나노소재 기반 촉매에서 나타나던 산소발생반응의 불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연구팀이 제시한 설계법은 상변환 가능한 모든 전이금속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산소발생반응용 촉매 개발에도 폭넓게 활용 가능한 범용 합성법으로 평가받았다.
더불어 로켓추진체 및 반도체공정 등에 사용되는 하이드라진 산화반응을 위한 수전해 촉매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원규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탄소중립(Net-Zero)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앞당길 핵심 기반 기술로, 친환경 수소 산업의 생태계 구축 및 에너지 혁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후속연구를 통해 대면적 전극에서의 촉매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 상용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신진연구사업 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10월 23일 게재되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내 연구진, 전이금속 화합물 기반 친환경 산소 발생 촉매 개발
기사입력:2025-10-29 16:49: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81.15 | ▲70.74 |
| 코스닥 | 901.59 | ▼1.71 |
| 코스피200 | 571.51 | ▲12.0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375,000 | ▲272,000 |
| 비트코인캐시 | 836,000 | ▼1,500 |
| 이더리움 | 5,886,000 | ▲1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80 | ▼240 |
| 리플 | 3,891 | ▲14 |
| 퀀텀 | 2,979 | ▼1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569,000 | ▲229,000 |
| 이더리움 | 5,891,000 | ▲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210 |
| 메탈 | 720 | ▼1 |
| 리스크 | 320 | ▼1 |
| 리플 | 3,890 | ▲8 |
| 에이다 | 975 | ▼5 |
| 스팀 | 134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6,500,000 | ▲330,000 |
| 비트코인캐시 | 835,500 | ▼2,000 |
| 이더리움 | 5,890,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220 |
| 리플 | 3,888 | ▲8 |
| 퀀텀 | 2,983 | 0 |
| 이오타 | 217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