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실련,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혁신 촉구 기자회견 가져

기사입력:2025-09-02 16:44:54
(사진제공=부산경실련)

(사진제공=부산경실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산경실련은 9월 2일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18년간 유지되어 온 부산의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더 이상 과거 방식으로는 지속될 수 없다는 현실을 공유하고 새로운 해법을 제안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밝혔다.

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시민들의 일상과 삶의 질을 지탱하는 공공서비스이다. 그러나 지금의 준공영제는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면서도 시민의 체감 만족도와 효율성에서는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시민의 교통권을 지키고, 부산의 미래 교통 체계를 지속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부산경실련이 제안하는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구조적 혁신방안은 다음과 같다.

△시내버스 감차정책 추진 : 필요한 주력 노선은 유지하고 비주력 노선을 우선 폐지하는 방향으로 하되 시민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감차 대수에 상응하는 규모의 대체 교통수단 마련(마을버스, 대형택시 등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시스템 투입)

△ 시내버스 업체간 통·폐합 실현 : 시내버스간 통·폐합을 통한 노선개편과 노선의 효율성 증대

△시민중심의 시내버스 서비스 혁신 : 도시철도와 시내버스를 연계하는 환승센터와 도심스테이션, 스마트 쉘터 확대, 교통정보 시스템 개선, 지연운행방지 등 근태관리 개선 등

△시내버스 요금 조정 : 시내버스 요금 현실화를 위해 최소 4년마다 소비자 물가를 반영한 시내버스 요금 조정 검토

△시내버스 준공영제 혁신 민·관협의체 구성 : 감차와 통·폐합, 효율적 노선개편, 서비스 개선방안 등 논의를 통해 시민 참여형 공론 과정 마련이 그것이다.

부산경실련 도한영 사무처장은 "부산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대중교통 경쟁력을 높이고 재정을 건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듣고 책임 있는 결단과 실행으로 응답해야 한다. 오늘 기자회견이 이러한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부산시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시의 많은 재정지원이 투입되는 만큼 시민 교통권을 보장하고 도시 전체의 교통 효율을 높이는 제도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부산시, 버스 업계, 시민들이 함께 준공영제 혁신에 함께 나서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2.35 ▲29.42
코스닥 794.00 ▲9.00
코스피200 428.15 ▲4.8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100,000 ▼404,000
비트코인캐시 812,500 ▼1,500
이더리움 5,987,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8,670 ▼150
리플 3,903 ▲3
퀀텀 3,589 ▼3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124,000 ▼254,000
이더리움 5,993,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8,690 ▼140
메탈 985 0
리스크 512 ▲1
리플 3,904 ▲7
에이다 1,135 ▼3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15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813,000 0
이더리움 5,99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680 ▼150
리플 3,903 ▲4
퀀텀 3,600 0
이오타 257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