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국세청은 8월 7일字로 부이사관 4명을 고위직(나급)으로 승진시키는 등 간부급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번 인사를 통해 지난 7월 명예퇴직 등으로 발생한 국장급 공석을 충원하고, 고위승진으로 인한 과장급 공석에는 전문성과 경륜을 갖춘 부이사관을 배치함으로써, 지난달에 이은 후속인사를 마무리하고 하반기 주요현안을 한층 속도감 있게 안정적으로 추진했다.
◇고위공무원 승진(4명)
▲중부지방국세청 조사3국장 박광종(서울청 납세보호) ▲부산시장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윤승출(중부청 납세보호) ▲부산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장 박병환(인청청 조사1) ▲부산지방국세청 조사2국장 김태호(서울청 감사)
◇부이사관 전보(9명)
▲서울지방국세청 감사관 한경선(국세청) ▲서울지방국세청 징세관 김승민(국세청) ▲서울지방국세청 납세보호감당관 공석룡(인천청 성실납세) ▲서울지방국세청 과학조사담당관 강종훈(대전청 성실납세) ▲강남세무서장 김길용(서울청 징세) ▲중부지방국세청 납세보호담당관 장신기(국세청) ▲인천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남우창(국세청) ▲인천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윤창복(서울청 과학조사) ▲대전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강동훈(국세청) 2023. 8. 7.자
○중부지방국세청 조사3국장 (박광종)=’87년 8급 특채로 공직에 입문하여 서울청 납세자보호담당관・감사관, 국세청 부가가치세과장 등 주요 직위에 두루 재직했다. 서울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으로 재직하면서 세무조사 감독・견제 기능을 강화하고, 공정하고 적법한 위원회 운영으로 납세자 권익을 적극적으로 구제함은 물론, 신규사업자 ‘세금교실’ 확대, ‘민원실 현장소통단’ 운영 등 현장중심의 찾아가는 소통활동으로 사업하기 좋은 환경조성에 기여했다.
○부산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윤승출)= ’01년 행시 44회로 공직에 입문하여 중부청 납세자보호담당관, 대전청 조사1국장, 국세청 조사기획과장 등 주요 직위를 역임했다. 중부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으로 재직하면서 산업현장 방문, 수출기업 간담회, 한국여성경제인협회와 MOU 체결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실효성 있는 소통활동으로 민생・경제회복을 지원하고,불복청구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공정한 심사행정 운영으로 억울한 납세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납세자 권리구제 강화에 앞장섰다.
○부산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장 (박병환)= ’01년 행시 44회로 공직에 입문하여 인천청 조사1국장, 대구청 조사1국장, 국세청 감사담당관 등 주요 직위에 두루 재직했다. 인천지방국세청 조사1국장으로 재직하면서 중요조사에 대해 포괄적인 법률지원 확대, 조사분석팀과 조사팀간의 상호피드백 강화 등 세무조사 사전검증을 강화하여 과세적법성을 제고하고 내실 있는 조사분석 학습동아리 운영으로 개청 4년차 맞은 인천청 조사역량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부산지방국세청 조사2국장 (김태호)= ’00년 행시 43회로 공직에 입문하여 서울청 감사관, 국세청 혁신정책담당관・납세자보호담당관 등 본・지방청 다양한 직위에 재직했다. 서울지방국세청 감사관으로 재직하면서 세무행정 전 분야의 적법절차 준수 여부를 필수 점검사항으로 지정하여 납세자 권익침해와 업무해태에 대해서 엄중 대응하는 한편, 열심히 일하는 과정에서 고의성이 없는 경미한 귀책은 책임을 감면하는 등 소신을 가지고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국세청, 고위직 승진 인사…고위공무원 승진·부이사관 전보
기사입력:2023-08-04 13:58: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94.65 | ▲17.38 |
코스닥 | 723.96 | ▲1.44 |
코스피200 | 344.67 | ▲3.1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434,000 | ▼28,000 |
비트코인캐시 | 571,500 | ▼1,000 |
이더리움 | 3,514,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50 | ▲70 |
리플 | 3,364 | ▲15 |
이오스 | 1,291 | ▲3 |
퀀텀 | 3,538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422,000 | ▼78,000 |
이더리움 | 3,51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10 | ▲60 |
메탈 | 1,285 | ▲6 |
리스크 | 808 | ▲1 |
리플 | 3,362 | ▲15 |
에이다 | 1,149 | ▲7 |
스팀 | 22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38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572,000 | ▼1,000 |
이더리움 | 3,51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10 | ▲10 |
리플 | 3,366 | ▲16 |
퀀텀 | 3,504 | 0 |
이오타 | 366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