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결]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 '5년 소멸시효' 적용

기사입력:2023-07-19 15:38:20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대법원이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여부에 대해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지난 5월 18일,판결했다.

대법원은 공직선거법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은 5년이라고 판시했다.

판결요지를 보면 공직선거법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당선이 무효로 된 사람(기소 후 확정판결 전에 사직한 사람을 포함한다)과 당선되지 아니한 사람으로서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에 규정된 자신 또는 선거사무장 등의 죄로 당선무효에 해당하는 형이 확정된 사람은 제57조에 따라 반환된 기탁금 및 제122조의2에 따라 보전받은 선거비용을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반환하여야 하고(제265조의2 제1항, 제2항),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납부기한까지 위 기탁금 또는 선거비용이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 당해 후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장에게 징수를 위탁해 관할세무서장이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하며(제265조의2 제3항)한다.

대법원은 위 규정에 따라 납부 또는 징수된 금액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제265조의2 제4항). 그런데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1.92 ▼10.37
코스닥 819.31 ▲1.04
코스피200 430.38 ▼1.2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00,000 ▲1,043,000
비트코인캐시 698,000 ▲16,000
이더리움 4,851,000 ▲123,000
이더리움클래식 28,150 ▲610
리플 4,962 ▲212
퀀텀 3,266 ▲5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76,000 ▲973,000
이더리움 4,840,000 ▲116,000
이더리움클래식 28,110 ▲600
메탈 1,119 ▲11
리스크 633 ▲3
리플 4,959 ▲205
에이다 1,177 ▲50
스팀 20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70,000 ▲1,300,000
비트코인캐시 697,000 ▲14,000
이더리움 4,844,000 ▲118,000
이더리움클래식 28,110 ▲640
리플 4,961 ▲211
퀀텀 3,263 ▲50
이오타 343 ▲1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