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연 소득 2.67배 달하는 대출 부담 지고 있어

기사입력:2021-09-26 09:38:06
[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 버팀목인 청년층 빚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인천 연수을, 기획재정위원회)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소득대비부채비율(LTI)이 가장 크게 상승한 연령층은 30대(2017년 1분기 213.9%, 2021년 1분기 266.9%로 53.0%p 증가)와 20대 이하(2017년 1분기 106.6% 2021년 1분기 150.4%로 43.8%p 증가)로 밝혀진 것이다.

소득대비부채비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차주가 벌어들이는 전체 소득에 비해 상환부채의 원리금 지출 부담이 크다는 것으로, LTI 비율이 청년층에서 높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청년층에서 부실 대출이 발생할 위험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리 사회의 각 연령대 중 LTI 비율이 가장 높은 30대의 경우 2021년 1분기를 기준으로 LTI가 266.9%에 달한다. 이는 이들이 연 소득의 약 2.67배에 달하는 대출 부담을 짊어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LTI가 그다음으로 높은 연령층은 60대 이상 연령층인데, 이는 노령층의 경우 근로소득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LTI가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청년층에서 LTI 비율이 높은 것은 최근 주위 사례를 통해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치가 가파르게 오른 것을 체감한 청년층이 ‘페닉바잉’을 통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집을 사거나 투자한다는 의미) 또는 “빚투”(빚을 낸 투자의 줄인말)를 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39세 이하 국내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259조 7천억 원으로, 3년 전인 2018년 1분기(170조 원)의 1.5배에 이른다.

최근의 LTI 증가 추세는 성별을 기준으로 살펴도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공통으로 확인된다. 2021년 1분기 기준 남성 차주의 LTI는 236.6%이고, 여성 차주의 LTI는 223.8%인 것이다. 결국, 가계부채 전반이 차주의 소득대비 부채가 과중해지면서 가계부채 전반의 부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 5년간 비은행권이 취급한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의 증가율이 올 1분기 들어 최고 폭을 기록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차주가 많아져 부실 우려가 더 커진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정일영 의원은 “전체 가계부채 상황이 악화되는 와중에 특히 다른 연령층을 압도할 정도로 청년층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현상은 우리 사회의 버팀목인 청년층을 중심으로 금융 부실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현존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하면서 “코로나 19로 인한 경기 위축이 청년층을 빚더미로 내모는데 기획재정부는 재정지원이 아닌 금융지원에만 치중했다. 오는 국정감사에서 청년층 가계부채 급증에 대해 경제부총리에게 연착륙 방안을 확인하고, 그 대책 마련을 받아낼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21,000 ▼44,000
비트코인캐시 799,000 ▼1,000
이더리움 5,147,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0,840 ▼230
리플 4,339 ▼16
퀀텀 3,170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10,000 ▼68,000
이더리움 5,14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850 ▼180
메탈 1,112 ▲6
리스크 650 ▲3
리플 4,340 ▼15
에이다 1,116 ▼5
스팀 20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7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799,500 ▼1,000
이더리움 5,15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830 ▼170
리플 4,340 ▼16
퀀텀 3,170 ▼3
이오타 29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