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전KDN은 지난 17일 여름철 폭염, 태풍 등 자연재해 대비 전력공급 안정화 및 사업 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남 영광에서 광통신 복합가공지선 OPGW 설비의 안전점검을 시행했다고 18일 밝혔다.
한전KDN에 따르면 OPGW(Composite Overhead Ground Wire with Optical Fiber)란 고압선로를 보호하는 기능과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선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송전탑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이다.
박성철 사장이 직접 참여한 이날 점검은 드론과 ICT기술을 활용한 OPGW설비 점검 사업현황 확인 및 현장 안전점검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OPGW는 송전선로의 최상부에 위치한 전력선 보호용 케이블에 광섬유 통신선을 내장한 복합 케이블로서 대국민 안정적 전력공급 및 전국적 전력 계통망 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전력ICT 핵심시설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선로 점검을 위해서는 산악지대에 위치한 100M 이상의 철탑을 근로자가 직접 승주해서 점검해야만 하는 고위험 현장이다.
한전KDN은 이러한 안전문제 해결을 위해 18년도부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각광 받는 드론에 ICT기술을 융합하여 OPGW등 전력설비 안전점검에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을 현저히 낮췄으며, 현재 드론기술에 AI를 활용한 영상분석 기반 전력설비 진단 기술을 결합하여 안정성과 불량설비 점검률을 높이고 점검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박성철 사장은 이날 안전점검 과정 전체를 함께하며 직접 드론활용 점검을 수행해보고, 작업자의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며, 드론 기술 고도화를 통한 신사업 발굴의 사업기회 창출의견을 제시하는 등 신기술을 활용한 근로자의 재해예방과 안전 강화방안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한편, 한전KDN은 드론 활용 장거리 전력설비 점검기술 개발을 위해 SA DroneTech(드론분야) 사내벤처를 출범하여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공공기관 최초로 송전철탑 드론점검 기술을 활용해 발화점 위치를 파악하는 소방합동 훈련을 시행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박성철 사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현장 안전점검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력ICT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안전 장비를 고도화하여 직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계속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전KDN, 드론 ․ ICT활용 사업현장 안전점검 시행
기사입력:2020-06-18 21:44: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5.66 | ▲1.29 |
코스닥 | 815.26 | ▲1.16 |
코스피200 | 436.5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56,000 | ▼12,000 |
비트코인캐시 | 812,500 | ▼1,500 |
이더리움 | 6,105,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600 | ▼130 |
리플 | 4,311 | ▼14 |
퀀텀 | 2,938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174,000 | ▼2,000 |
이더리움 | 6,103,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80 | ▼170 |
메탈 | 1,021 | ▼2 |
리스크 | 567 | ▼1 |
리플 | 4,313 | ▼11 |
에이다 | 1,258 | ▼12 |
스팀 | 18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80,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812,000 | ▼2,000 |
이더리움 | 6,11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20 | ▼220 |
리플 | 4,309 | ▼16 |
퀀텀 | 2,922 | 0 |
이오타 | 28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