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2019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사입력:2020-03-11 17:26:18
[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국내 대중문화예술산업 관련 사업체의 실태와 종사자의 활동 현황, 노동 환경 등을 조사한 ‘2019년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규모는 6조4210억 원으로 지난 2016년 5조3691억원 대비 19.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산업 규모의 성장세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업체의 증가, 16개 상장기획사의 매출 증가 외에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신진기획사의 약진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문화예술산업 전체 매출액 중 해외 매출도 8742억 원을 기록하며 16년 5,175억 원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의 인기와 방탄소년단 등 K-Pop 아이돌 그룹의 성공적 해외 활동 및 글로벌 팬덤 형성이 매출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중문화예술기획업체에 소속된 대중문화예술인은 총 9141명으로 2016년 8059명 대비 1082명(13.4%) 증가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가수 4003명(43.8%), 연기자 3,422명(37.4%), 모델 693명(7.6%), 코미디언 188명(2.1%), 기타(성우, 크리에이터 등) 835명(9.1%)으로 나타났다. 연습생은 319개(14.7%) 업체에 총 1671명으로 ’16년 1,440명 대비 231명(1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가수 지망생이 1204명(72.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속 대중문화예술인과 표준전속계약서를 사용하는 업체는 94.9%로 2016년 84% 대비 1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태프의 서면계약률도 ’16년 66.5%에서 2018년 73.6%로 상승해 표준계약서 보급과 서면계약 인식이 업계에 정착해 나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대중문화예술인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180.2만원으로 2016년 183.2만원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중문화예술활동 분야만의 소득은 128.2만원으로 ’16년 114.9만원 대비 13만원 가량 증가했다.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태프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239.6만원으로 2016년 215.5만원 대비 24.1만원 상승했다.

콘진원 김영준 원장은 “대중문화예술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공정한 산업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요청이 계속되어 왔고 그에 대한 개선 노력이 표준계약서 사용 증가 등 긍정적인 성과로 연결되고 있으나, 아동·청소년, 연습생 등 상대적 약자에 대한 권리 보호, 불공정 계약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 약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보완 대책 수립 및 공정한 계약문화 확산 등 건강하고 투명한 산업구조 마련을 위해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조사는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명시된 법정조사로 2015년에 처음 실시됐다. 이번 조사는 대중문화예술산업 사업체 총 3,704개(기획업 2173개, 제작업 1531개), 대중문화예술산업 종사자 124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콘텐츠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59,000 ▼42,000
비트코인캐시 798,500 0
이더리움 5,15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0,880 ▼130
리플 4,352 ▲12
퀀텀 3,174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02,000 ▼44,000
이더리움 5,146,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0,910 ▼60
메탈 1,112 ▲2
리스크 649 ▲3
리플 4,353 ▲13
에이다 1,119 ▲3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6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98,500 ▲1,000
이더리움 5,15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860 ▼170
리플 4,351 ▲11
퀀텀 3,174 ▲1
이오타 295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