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교수 75%, 박근혜 대통령 책임은 ‘탄핵 사유’

기사입력:2016-11-09 14:52:17
[로이슈 신종철 기자] 법학교수 75%는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은 ‘탄핵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전국법과대학교수회(회장 이호선 국민대 법대 교수)는 11월 4일부터 8일까지 법학교수들을 상대로 현 정국 현안에 대한 긴급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긴급 설문조사에는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소속 28명, 법과대학 소속 29명, 기타 법학 전공 교수 3명 등 법학교수 60명(공법학 29명, 사법학 27명, 기타 전공 4명)이 참여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이번 설문조사에서 무엇보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질문이 관심을 끌었다.

설문에 참여한 법학교수 75%는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은 ‘탄핵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반면, ‘탄핵 사유가 아니다’라는 의견은 17%에 불과해, 탄핵사유라는 의견이 크게 우세했다.

전국법과대학교수회 긴급 설문조사

전국법과대학교수회 긴급 설문조사

이미지 확대보기
또한 “실체적 진실 규명 차원에서 현직 대통령에 대한 수사의 실효성”에 대한 질문에는 ‘(매우) 낙관한다’는 긍정적인 의견은 10%에 불과한 반면 ‘(매우) 비관적이다’라는 부정적 의견은 75%로 나왔다.

법학교수들은 실체적 진실을 밝힘에 있어 ‘여론의 관심이 고조된 지금 현직 대통령에 대한 임의수사’ 의견이 63%, ‘퇴임 이후 자연인 전직 대통령에 대한 강제수사’ 의견이 33%로 2배가량 차이가 났다.

법학교수들은 ‘현직 대통령에 대한 헌정 사상 초유의 수사 전례가 법 앞의 평등정신을 구현하는 바람직한 선례가 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매우) 동의한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84%에 달했다.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라는 부정적 의견은 15%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법대교수들은 ‘대한민국 전반의 쇄신을 위해 개헌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73%에 달했다. ‘개헌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23%로 나타났다.

개헌을 할 경우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 “전반적인 제도가지 손보는 광범한 개헌” 의견이 60%, “대통령 중임제와 같은 원 포인트 개헌” 의견이 13%로 나왔다.

신종철 기자 sky@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78,000 ▼339,000
비트코인캐시 757,500 ▼1,000
이더리움 5,076,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30,940 ▼250
리플 4,335 ▼15
퀀텀 3,164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98,000 ▼289,000
이더리움 5,082,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30,950 ▼280
메탈 1,092 ▼9
리스크 634 ▼4
리플 4,338 ▼10
에이다 1,129 ▼6
스팀 19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60,000 ▼330,000
비트코인캐시 759,500 ▼1,000
이더리움 5,08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0,980 ▼210
리플 4,337 ▼15
퀀텀 3,166 0
이오타 288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