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중국 파트너사로부터 500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료를 또 한번 받는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중국 리브존제약(Livzon Pharmaceutical Group)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의 중국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품목허가신청을 제출함에 따라, 개발 마일스톤 미화500만 달러(한화 약 70억 원)를 청구했다고 1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마일스톤은 온코닉테라퓨틱스가 글로벌 진출 과정에서 수취한 개발 마일스톤 가운데 단일 규모로는 최대 수준이다. 보통 신약 기술이전 계약에서 초기 기술이전료를 수취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NDA(신약품목허가) 단계까지 진행되어 대형 마일스톤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 성과는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미 상장 이전인 지난 2023년 3월 리브존과 중화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금 1500만달러(약 200억 원)을 확보한 바 있다. 상장 이후인 올해만 해도 임상 3상 진입에 따른 300만달러(약 44억 원)와 생산기술 이전 완료에 따른 150만달러(약 22억 원)의 개발 마일스톤이 연이어 유입됐다. 업계에서는 향후 중국 내 허가 승인 시 추가적인 ‘허가 마일스톤’ 수령도 유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으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GERD(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은 약 40조 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 시장은 약 4조 원에서 6조 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 시장으로 평가된다. 특히 P-CAB 시장은 지난해 2,414억 원 규모에서 연 성장률 81%를 기록하는 등 고속 성장 중이다.
온코닉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임상 3상을 단기간에 마무리하고 신속히 허가 신청까지 이어간 것은 글로벌 진출의 중요한 분기점”이라며, “이번 대형 마일스톤 확보로 해외 수익 기반이 더욱 강화된 만큼, 인도·멕시코·남미 등 다른 주요 시장에서도 상업화 속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중국을 포함해 총 26개국에 자스타프라잔의 해외 기술이전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으며, 인도와 멕시코, 남미 19개국, 북유럽 5개국 등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온코닉테라퓨틱스, 中 임상 3상 완료로 500만 달러 규모 기술이전료 수령
기사입력:2025-08-19 18:23:0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41.74 | ▲11.65 |
코스닥 | 777.24 | ▼0.37 |
코스피200 | 424.41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211,000 | ▼664,000 |
비트코인캐시 | 775,500 | ▼1,500 |
이더리움 | 5,96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60 | ▼200 |
리플 | 4,042 | ▼17 |
퀀텀 | 3,247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375,000 | ▼500,000 |
이더리움 | 5,968,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90 | ▼190 |
메탈 | 1,004 | ▼3 |
리스크 | 532 | ▲1 |
리플 | 4,046 | ▼13 |
에이다 | 1,207 | ▼12 |
스팀 | 18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190,000 | ▼690,000 |
비트코인캐시 | 775,000 | ▼500 |
이더리움 | 5,96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00 | ▼140 |
리플 | 4,045 | ▼12 |
퀀텀 | 3,241 | ▲1 |
이오타 | 27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