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라온피플(대표 이석중)은 22일 태국 붕깐주정부로부터 사업허가서를 받고 ‘AI 관제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생성형 AI와 다중 융복합 탐지를 활용해 태국 붕깐주의 교통 및 범죄,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AI 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스마트시티 구축을 목표로 진행된다.
라온피플이 공급하는 오딘AI(Odin AI)는 LLM과 VLM을 결합, 기존의 비전 AI를 뛰어넘는 고도화된 관제 및 분석 솔루션으로 상황과 맥락을 분석하고 객체의 의도와 이상현상을 감지하는 기술에 특화되어 있다. 특히, 실시간 요약 및 분석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고 위험 예측 및 대응 시나리오를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앞서 위험요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순한 관제나 감시를 넘어 AI 에이전트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하면서 향후 스마트시티 구축에 핵심 인프라로 적용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라온피플은 1차로 붕깐주 시청 인근의 AI 관제센터에서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신규서버 도입과 AI CCTV 추가 설치, 오딘AI 솔루션을 구축하는 등 올해까지 붕깐주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기반을 마련하고 실증을 통해 태국 전역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로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라온피플 관계자는 “AI 기반의 교통 관제, 범죄 예방 시스템까지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적용하고 붕깐주가 태국 내 AI 스마트시티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술과 솔루션을 지원할 것”이라며 “사업을 진행하면서 태국내 AI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협력 등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면서 사회공헌 기금 조성, 지역환경 개선 등 ESG 경영은 물론 상생을 위한 협력체계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벨킨, Qi2 25W 고속 무선 충전 솔루션 공개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브랜드 벨킨이 22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선 충전 시장의 비전과 기술 리더십을 제시하며, 세계 최초 Qi2 25W 인증을 획득한 차세대 무선 충전 솔루션 ‘25W UltraCharge’ 시리즈 3종을 공개했다.
벨킨은 전 세계 누적 10억 개 이상의 제품 판매와 미국 모바일 파워 액세서리 부문 판매 1위를 기반으로, 애플 및 삼성과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아이폰 17과 안드로이드 최신 모델과의 호환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신뢰와 기술력을 결합해 무선 충전 시장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본격적인 시장 리더십을 선언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무선 충전 시장은 2024년 약 64억 달러에서 2029년 1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그 중심에는 Wireless Power Consortium(WPC)이 제정한 Qi2 표준이 있다. Qi2는 애플의 맥세이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기 정렬(Magnetic Power Profile, MPP) 방식을 도입해 충전 효율과 속도를 높이고 발열을 줄여 안정성을 강화했다.
특히 올해 7월 발표된 Qi2 25W(정식 표기: Qi v2.2.1) 표준은 최대 25W의 더 빠른 충전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제공하며, 아이폰 등 글로벌 플래그십 모델에 최적화된 충전 성능을 지원한다. 벨킨은 애플과 삼성의 공식 인증 프로그램(MFi, SMAPP)을 각각 획득하며 글로벌 액세서리 파트너로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해 왔다. 최근에는 WPC가 제정한 국제 표준에 기반한 Qi2 25W 인증 제품을 출시해 무선 충전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한층 강화했다.
최근 고속 충전 기술에서는 전력 전송 효율뿐 아니라 대기 전력 절감, 충전 중 발열 억제, 기기 간 통신 안정성 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벨킨은 이러한 요구를 반영해 일본의 반도체 제조업체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와 함께 ‘ZSP(Zero Standby Power)’기술을 개발하며 친환경 충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제로 전력 스마트 칩과 GaN 기술 및 첨단 반도체 기술을 통해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전력 소비를 0.005W 이하 수준으로 낮춰 업계 평균보다 훨씬 낮은 ‘제로 대기 전력’을 실현했다.
또한, 벨킨의 모든 제품은 재활용 플라스틱과 플라스틱 프리 패키징을 적용해 지속 가능성을 강화했다. 이번 발표는 애플과 삼성은 물론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친환경을 동시에 아우르는 고속 충전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벨킨 Qi2 25W UltraCharge 3종, 프리미엄 무선 충전 솔루션 공개
벨킨이 선보이는 이번 제품은 세계 최초로 Qi2 25W 인증을 획득한 UltraCharge 무선 충전 솔루션 3종이다. UltraCharge는 기존 BoostCharge 라인업의 상위 버전으로, 최신 Qi2.2 표준을 기반으로 설계돼 최대 25W 고속 무선 충전을 지원한다. 충전 효율성이 높아지고 발열 관리와 호환성이 한층 강화되었으며, 벨킨의 기술력과 디자인 철학을 집약해 안전성·성능·스타일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UltraCharge 시리즈는 벨킨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ChillBoost’ 냉각 기술을 적용했다. 이 기술은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능동적으로 제어해 발열을 줄이고, 안정적이면서도 빠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Smart Protect’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과 신뢰성을 강화했으며, 85%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와 100% 플라스틱 프리 패키지를 적용해 지속 가능성까지 고려했다.
대표 제품인 UltraCharge Pro 3-in-1 마그네틱 충전 독(WIZ040)은 스마트폰·무선 이어폰·스마트워치를 동시에 고속 충전할 수 있는 프리미엄 모델이다. 아이폰 16을 약 25분 만에 50%까지, 애플워치 10을 30분 만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크롬 마감과 실리콘 베이스 등 고급 소재와 액티브 쿨링 시스템을 적용해 완성도를 높였다.
◆디모아, 자금조달 '청신호'...독립 경영·신사업 확장 가속화
소프트웨어 유통·판매 전문 기업 디모아가 현금성 자산 확보에 힘입어 구 쌍방울그룹과 완전히 결별하고 체질개선 등 경쟁력 강화를 본격화한다.
이러한 자신감을 통해 기존 사업은 물론 전문사모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등의 영역 확대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디모아는 지난 19일 127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납입 완료와 예정된 유상증자 납입 등 외부 투자 유치를 통해 재무적 안정성과 사업적 시너지 확보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디모아 측은 “이번 CB 납입 및 예정된 유상증자 절차는 구 쌍방울그룹과의 연결고리를 끊고 독립적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과정”이라며 "투자수익 확보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미 디모아는 그룹 리스크에서 벗어나 투명 경영 및 투자자 중심 체제로 전환 중이며 내달 1일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정관 변경 및 신규 이사 선임을 추진할 계획이다.
디모아는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어도비(Adobe), 안랩(AhnLab) 등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하며 인공지능(AI)·클라우드·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방송이슈] 라온피플, 태국 붕깐주 ‘AI 관제 시스템 구축사업’ 착수 外
기사입력:2025-09-22 16:07: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86.19 | ▲17.54 |
코스닥 | 872.21 | ▼2.15 |
코스피200 | 481.54 | ▲3.2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00,000 | ▲108,000 |
비트코인캐시 | 800,500 | ▲1,000 |
이더리움 | 5,964,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30 | ▲30 |
리플 | 4,068 | ▼5 |
퀀텀 | 3,106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52,000 | ▲170,000 |
이더리움 | 5,968,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10 | ▲40 |
메탈 | 940 | ▲2 |
리스크 | 458 | 0 |
리플 | 4,069 | ▼5 |
에이다 | 1,170 | ▲3 |
스팀 | 17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20,000 | ▲110,000 |
비트코인캐시 | 798,500 | ▼1,000 |
이더리움 | 5,96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00 | ▲20 |
리플 | 4,068 | ▼4 |
퀀텀 | 3,112 | ▼3 |
이오타 | 251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