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오펠라의 한국법인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이하 ‘오펠라’)는 세노비스가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트리플러스 오메가-3 이뮨 맨&우먼’을 비롯해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특별 할인가로 선보이는 ‘추석 특선물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작은 습관, 매일의 차이’ 브랜드 메시지를 전하는 동시에, 소중한 사람들에게 건강과 감사의 마음을 함께 전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2주간, 세노비스 공식 네이버 스토어에서 최대 52% 할인해, 합리적인 금액으로 일상 속 건강함을 선물할 수 있다.
특히, 세노비스의 대표 스테디셀러인 종합비타민 ‘트리플러스’는 52% 할인가에 만날 수 있다. 올해 새롭게 리뉴얼된 ‘트리플러스 오메가-3 이뮨 맨&우먼’은 복합 성분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남녀의 하루 영양 성분 기준치에 맞게 필요한 영양 성분과 함량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고함량 비타민B군과 마그네슘, 철분, 망간 등을 배합하고, 정상적인 면역 기능에 필수적인 아연까지 고함량으로 함유했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K 함량을 3배 높여 뼈 건강까지 고려했다. 또한 자연분자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체내 흡수율을 높인 프리미엄 rTG 오메가3(EPA 및 DHA 함유 유지)도 함께 구성해 혈행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이 외에도 이너뷰티 트렌드를 반영해 새롭게 출시한 ‘콜라겐 히알루론산 앰플샷’을 비롯해 ‘수퍼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키즈 멀티비타민 미네랄’ 등 인기 제품도 금액대별로 선보여, 연령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맞춤형 선물이 가능하다.
한편, 올해로 한국 진출 15주년을 맞은 세노비스는 지속가능한 건강 관리를 위해 일상 속 작은 습관을 강조하는 ‘작은 습관, 매일의 차이’ 캠페인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나이벡, EAO 2025 기업 포럼 개최
나이벡(대표이사 정종평)은 오는 18일부터 사흘간 모나코에서 열리는 유럽치과임플란트학회(European Association for Osseointegration, EAO) 2025에서 특별 기업 포럼과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재생 바이오소재 혁신 기술 분야의 글로벌 영업망 확장 전략을 본격화한다고 15일 밝혔다.
나이벡은 이번 무대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 확대 ▲신규 바이어 발굴 ▲유럽 및 신흥시장 진출 전략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럽치과임플란트학회(European Association for Osseointegration, EAO)는 전 세계 80여 개국의 치과·임플란트 전문가와 기업이 참가하는 유럽 최고의 권위있는 학술대회다. 나이벡은 이번 행사에서 기업 포럼과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기업 포럼은 ‘치조골 위축 예방 및 관리 혁신(Redefining Bone Regeneration: Innovations in Preventing and Managing Alveolar Ridge Atrophy)’을 주제로 진행된다. 세션에는 EAO 회장을 역임한 파스칼 발렌티니 박사(Pascal Valentini, DDS)와 호마 자데 박사(Homa Zadeh, VISTA), 데이비드 김 박사(David Kim, 하버드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임상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는 나이벡 주력 제품군의 시판 후 임상 근거 자료가 공유되며, 과학적·임상적 유효성이 강조될 예정이다.
나이벡은 행사 기간 동안 전시 부스(F-23)를 마련해 OCS-B, OCS-B 콜라겐, 리제노머 등 핵심 제품을 전시하고, 글로벌 바이어와의 교류를 통해 공급망 확보와 해외 판매 채널 확장을 추진한다. 특히 기존 파트너사인 스트라우만, 노벨바이오케어와의 협력을 심화해 유럽·북미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확대를 논의할 계획이다.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맞춤형 미래 건축 솔루션 '유닛랩'에 프리A 투자
스타트업 스케일업 전문 액셀러레이터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공동대표 배상승·박제현)가 BIM 기반 맞춤형 모듈러 건축 솔루션 기업 유닛랩(공동대표 하승호·하성민)에 프리A 투자를 집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유닛랩은 디지털 설계 기술을 활용해 모듈러 건축의 기획부터 시공까지를 자동화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한다. 주력 제품은 웹 기반 개인 맞춤형 주택 설계 서비스 '유닛하우스(UnitHaus)', B2B 및 공공 시장을 위한 자동화 빌딩 솔루션 '유닛빌드(UnitBuild)', 부지 기반 사업화 플랫폼 '유닛포인트(UnitPoint)' 등이다.
기존 모듈러 주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개인화 맞춤 설계가 가능한 ‘유닛하우스’는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직접 설계·주문할 수 있는 맞춤형 모듈러 주택으로, 유닛랩의 B2C 대표 제품이다. 사용자는 웹 기반 ‘유닛메이커’ 플랫폼을 통해 토지 조건, 예산, 가족 구성, 취향에 맞게 평면을 설계하고, 실시간 견적 확인과 수주 내 설치까지 원스톱으로 경험할 수 있다.
유닛랩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을 모듈 단위로 분해해 수백만 가지 평면 설계가 가능한 초개인화 설계 시스템을 개발했다. 설계부터 생산, 시공, 견적 산출, 자재 발주까지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는 통합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자동 도면 생성과 자재 수량 예측을 통해 설계 오류를 원천 차단하며, 전체 프로세스의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은 맞춤형 설계의 유연성과 대량 생산의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B2B 및 공공 주거 시장을 위한 '유닛빌드'는 부지 분석부터 실시설계, 제작·설치까지를 자동화하며, 건축 규모 최적화와 시공 효율화를 통해 공사 기간을 절반 이상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단지 개발을 위한 사업화 플랫폼 '유닛포인트'는 부지 분석, 수익성 검토, 마스터플랜 수립부터 디지털 쇼룸 및 분양 마케팅까지 지원하며, 유닛하우스 판매로 이어지는 매출 파이프라인을 구축한다.
배상승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공동대표는 “유닛랩은 노후 빌라 재건축 및 매입임대주택 같은 안정적인 공공 시장과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중저층 공동주택시장에서 설계 자동화, 맞춤형 대량생산, 정밀한 비용 예측 기술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면서 모듈러 건축 시장을 선점하고 탁월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해 투자하게 되었다”고 투자배경을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세노비스, 추석 맞이 ‘추석 특선물 프로모션’ 진행 外
기사입력:2025-09-15 11:14: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07.27 | ▲11.73 |
코스닥 | 851.52 | ▲4.44 |
코스피200 | 465.03 | ▲2.2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92,000 | ▲369,000 |
비트코인캐시 | 835,000 | ▲500 |
이더리움 | 6,465,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20 | ▲130 |
리플 | 4,250 | ▲13 |
퀀텀 | 3,518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402,000 | ▲402,000 |
이더리움 | 6,465,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20 | ▲140 |
메탈 | 1,038 | ▲5 |
리스크 | 530 | ▲1 |
리플 | 4,252 | ▲14 |
에이다 | 1,248 | 0 |
스팀 | 18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00,000 | ▲480,000 |
비트코인캐시 | 835,000 | ▲1,000 |
이더리움 | 6,47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580 | ▲110 |
리플 | 4,253 | ▲16 |
퀀텀 | 3,526 | ▲23 |
이오타 | 27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