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학사 캐치 "이직 경력자 10명 중 3명 ‘중고신입’ 택했다"

기사입력:2025-09-12 11:39:29
[로이슈 편도욱 기자] 최근 ‘중고신입’이 주요 취업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진학사 캐치의 분석 결과 실제로 이직을 시도한 경력자 10명 중 3명은 신입 포지션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최근 3년간 이직을 시도한 경력자 8,371명의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약 26%(2,193)가 ‘신입’ 포지션으로 지원한 것이 확인됐다. 다시 말해, 경력직임에도 신입 취업에 다시 도전한 ‘중고신입’ 현상이 실제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진학사 캐치 관계자는 "중고신입으로 지원한 이들의 기업 규모별 이동을 보면 중견기업 출신의 23%, 중소기업 출신의 21%가 대기업으로 이동했다"라며 "또한 중소기업 출신의 25%는 중견기업으로 지원해 규모 확장형 이동이 돋보였다"라고 전했다.

대기업 출신의 경우 72%가 동일 대기업 내 신입으로 지원해, 규모 간 이동보다는 재진입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업계별로는 ‘IT·통신(76%)’과 ‘제조·생산(75%)’에서 동일 업계 재지원이 높게 나타났다. 업계내 기업 수와 채용 기회가 많아 경력을 활용한 이직이 용이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대로 ‘은행·금융’ 업종은 타 업계 이동 비중이 72%로 업계 내 이동 비중이 낮았다.

이외에 △건설/토목(62%) △서비스(59%) △미디어/문화(55%) △교육/출판(52%) △판매/유통(51%) 순으로 동일 업계 내 이동이 많았다.

직무별로는 ‘IT/인터넷(88%)’과 ‘건설(81%)’, ‘연구개발/설계(79%)’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동일 직무 이동이 활발했다. 반면 ‘서비스(60%)’, ‘교육(50%)’ 직무는 절반 이상이 타 직무로 전환해 직무 전환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외에 △경영/사무(73%) △무역/유통(72%) △생산/제조(66%) △마케팅/광고/홍보(63%) △미디어(60%) △영업/고객상담(58%) △디자인(54%) △전문/특수직(53%) △교육(50%) △서비스(40%) 순으로 동일 직무 내 이동이 활발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0.74 ▲46.54
코스닥 846.52 ▲11.76
코스피200 462.03 ▲8.0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93,000 ▲251,000
비트코인캐시 827,500 ▲1,000
이더리움 6,28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00 ▲60
리플 4,248 ▲17
퀀텀 3,5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45,000 ▲145,000
이더리움 6,28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9,910 ▲110
메탈 1,004 ▲6
리스크 526 ▲2
리플 4,248 ▲17
에이다 1,258 ▲6
스팀 18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2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828,000 ▲2,500
이더리움 6,29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870 ▲80
리플 4,247 ▲19
퀀텀 3,588 ▼12
이오타 27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