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서울 거주자가 많이 매수한 경기도는 고양의 ‘1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 지역으로 탈서울 행렬이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서울 거주자가 많이 산 경기도 아파트 ‘톱 10’은 고양(1,519건), 하남(1,402건), 성남(1,393건), 용인(1,277건), 남양주(1,128건), 광명(985건), 안양(949건), 의정부(875건), 김포(859건), 수원(715건) 순서로 나타났다.
지난해는 고양(1,736건), 남양주(1,409건), 용인(1,341건), 하남(1,252건), 성남(1,201건), 김포(1,135건), 의정부(1,109건), 안양(931건), 부천(879건) 순으로 나타났다. 고양은 올해도 1위를 지킨 가운데 지난해 4위와 5위였던 하남과 성남이 올해는 남양주(지난해 2위)와 용인(지난해 3위)을 제치고 2, 3위로 올라섰다.
이들 상위권 지역의 공통점은 서울과 행정구역이 맞닿아 있는 이른바 ‘준서울’이라는 점이다. 서울의 높은 주거비를 피해 경기도로 향하지만, 직장 출퇴근 등을 고려해 서울 접근성을 최우선 순위로 두는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값은 15억2,499만원, 전세값은 6억6,378만원에 달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서울 전셋값이면 경기도에서 내 집 마련을 하고도 남는 곳이 많은데, 교통까지 좋아지니 굳이 서울만 고집할 이유가 없어진 것”이라며 “서울 진입 대기 수요가 사실상 서울 생활권인 경기 인접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새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계속 뜨거울 것”이라고 말했다.
탈 서울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에서 신규 공급도 이어진다. 대원은 비규제지역인 김포에서 ‘칸타빌 디 에디션’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에 돌입했다. 12월 2일특별공급을 시작으로 3일 1순위, 4일 2순위 청약을 받는다. 전용면적 66∙84∙104∙127㎡ 총 612가구로 조성된다. 인근에 서울지하철 5호선 감정역(추진중)이 계획되어 있어 서울 접근성은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66㎡A 타입은 중소형임에도 불구하고 4베이 평면에 독립된 공간으로 쓸 수 있는 대형 알파룸, 여유로운 수납공간을 적용해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84㎡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주방 확장형, 수납 특화형, 펫케어 특화형 등 선택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할 예정이다. 104·127㎡ 타입은 북변 일대 최초이자 보기 드문 복층형 펜트하우스와 넓은 테라스 설계를 도입했다.
용인 수지구에서는 GS건설 시공 ‘수지자이 에디시온’이 12월 분양 예정이다. 84㎡~152㎡ 총 480가구로 조성된다. 신분당선 동천역과 수지구청역이 도보 이용이 가능한 위치로 판교와 강남 접근성이 빼어나다.
인접한 성남 분당에서는 포스코이앤씨 시공 ‘더샵 분당센트로’가 연내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전용면적 60~84㎡총 647가구로 구성되며, 이 가운데 84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수인분당선 오리역이 도보권이다.
광명에서는 ‘힐스테이트 광명11(가칭)’이 12월 8일부터 10일까지 당첨자 계약이 진행된다. 1순위 청약에서 평균 36.7대1의 경쟁률을 보인 만큼, 계약도 순조로울 전망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탈서울 거주자의 선택은 ‘준서울’…매매 많이 한 경기 아파트는?
기사입력:2025-11-27 16:23:3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26.59 | ▼60.32 |
| 코스닥 | 912.67 | ▲32.61 |
| 코스피200 | 554.00 | ▼9.36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8,350,000 | ▲701,000 |
| 비트코인캐시 | 809,000 | ▲2,000 |
| 이더리움 | 4,588,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930 | ▲40 |
| 리플 | 3,374 | ▲73 |
| 퀀텀 | 2,441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8,744,000 | ▲285,000 |
| 이더리움 | 4,591,000 | ▲1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960 | ▲40 |
| 메탈 | 640 | ▼5 |
| 리스크 | 271 | ▼2 |
| 리플 | 3,376 | ▲72 |
| 에이다 | 651 | ▲5 |
| 스팀 | 118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8,300,000 | ▲780,000 |
| 비트코인캐시 | 808,500 | ▲3,500 |
| 이더리움 | 4,589,000 | ▲1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920 | ▲80 |
| 리플 | 3,376 | ▲77 |
| 퀀텀 | 2,447 | ▲38 |
| 이오타 | 176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