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최근 한국 관광에 대한 해외 관심도가 높아지며 지난달 29일부터 본격적으로 명동 상권이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지난 29일부터 1일까지 3일간 명동 상권 매출은 전주 동요일(9/22~24) 대비 20% 늘었다.
동기간 알리페이, 은련카드 등 중국인 주요 결제수단 매출 분석 시에는 이들이 아침식사로 즐기는 상품들이 특히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요거트 카테고리가 2배 가량 상승했으며, ‘또우장’(중국 대표 아침식사 메뉴인 콩국)을 대체할 수 있는 두유 매출이 50% 신장된 결과를 보였다. 또 다른 인기 아침식사 메뉴인 죽도 80% 올랐으며, 이외에도 삼각김밥, 김밥 등 푸드 간편식이 30% 가량 오르기도 했다.
세븐일레븐은 이러한 매출 분석을 기반으로 외국 관광객 선호 상품을 확대한다. 대표적으로최근 케이팝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이 한 줄짜리 김밥을 통째로 먹는 장면이 각종 챌린지나 밈으로 인기를 얻음에 따라 ‘통김밥’ 상품을 출시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통김밥을 K푸드 열풍에 맞춰 한국적인 디자인으로 패키징을 구성하였으며, 외국인 고객들이 취식에 참고할 수 있도록 영문 문구를 추가했다"라며 "컷팅 되지 않은 상태로 영화 속 주인공처럼 즐겨볼 수 있고 햄, 당근, 맛살, 우엉, 어묵, 단무지 등이 다양하게 들어가 풍성한 김밥의 맛을 즐길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중국인 관광객들이 두유를 아침식사 대용으로 많이 이용하는 만큼 ‘연세든든한23곡두유’도 오는 9일부터 새롭게 출시한다"라며 "국산 곡물 23종이 포함되어 포만감 있게 이용할 수 있으며 칼슘 220mg, 식이섬유 6g이 함유되어 건강한 두유 맛을 즐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견과류를 좋아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겨냥해 인기 베이커리 브랜드 ‘부창제과’와 콜라보한 ‘부창제과 호두정과’도 출시했다. 부창제과는 60년 전통 경주 베이커리 브랜드로 최근 리브랜딩 후 ‘이장우 호두과자’로 디저트 시장에서 입지를 넓혔으며, 오는 28일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공식 디저트 협찬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세븐일레븐은 상품 출시 외에도 명동, 성수 등 외국인 주요 이용 상권 거점 점포를 중심으로 서비스 대응에도 나섰다.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상품들을 점포에 사전 안내해 넉넉한 수량으로 준비가 되도록 조치하고 있으며 영문, 중문, 일문이 기재된 가격 태그와 포스터를 준비해 점포에 비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 문의 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가 가능한 메이트를 현장에 배치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가맹모델 '뉴웨이브'를 중심으로 외국인 수요 높은 상권인 '종로재동점'과 '종각점' 등에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특별 관광용품 매대 운영하고 있으며 태극기, 마패, 상평통보 등 한국을 상징하는 콘텐츠를 활용한 열쇠고리, 보조배터리 등 굿즈 판매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결제 관련 서비스의 경우 오는 31일까지 새롭게 위챗페이와 손잡고 7위안 할인쿠폰 제공 이벤트를 선보이고 있으며, 지난 8월 종로관수점을 시작으로 연내 외국인 상권 30여개 점포에 환전 키오스크를 도입 예정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세븐일레븐, 외국인 수요 증대 맞춰 김밥, 두유, 견과류 선봬
기사입력:2025-10-02 12:02:1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553.57 | ▼30.98 |
코스닥 | 844.12 | ▼16.37 |
코스피200 | 495.70 | ▼6.1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479,000 | ▼450,000 |
비트코인캐시 | 801,000 | ▼4,500 |
이더리움 | 6,192,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30 | ▼240 |
리플 | 3,804 | ▼18 |
퀀텀 | 3,108 | ▼2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503,000 | ▼486,000 |
이더리움 | 6,190,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20 | ▼290 |
메탈 | 836 | ▼23 |
리스크 | 372 | ▼1 |
리플 | 3,808 | ▼18 |
에이다 | 1,062 | ▼7 |
스팀 | 152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54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802,000 | ▼2,500 |
이더리움 | 6,190,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10 | ▼290 |
리플 | 3,808 | ▼18 |
퀀텀 | 3,112 | ▼36 |
이오타 | 23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