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인테리어 리모델링 공사는 주택 구매와 더불어 적지 않은 돈을 들이는 ‘일생일대의 쇼핑’이다. 인테리어 업체를 잘 고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업체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점은 뭘까? 오늘의집이 약 3만건의 인테리어 시공 리뷰를 분석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오늘의집 인테리어 리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상위 세 가지 포인트는 ‘만족스러운 시공 결과’(28.5%) ‘친절함(20.6%) ‘고객의견 반영’(20.1%) 였다. 친절한 태도로 고객 의견을 잘 반영해 의도하고 구상한 결과물을 제대로 구현하는 것이 인테리어 업체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도배나 타일, 마루 등 마감에 있어서도 잘 마무리가 되어서 만족스럽다”(유저 마포리) “만족스러운 결과물로 공사에 쓰인 비용이 아깝지 않게 해줬다”(유저 수요뜨) “그려왔던 느낌이 잘 살았다”(유저 콩콩시리) 등의 리뷰가 대표적이다.
이어 △꼼꼼한 시공(12.1%) △합리적인 가격(12%) △빠른 대응(11.1%) △원활한 소통(11.1%) 등도 자주 나타나는 만족 포인트였다. 특히 ‘합리적인 가격’을 언급하는 리뷰에는 ‘가성비’, ‘투명하고 상세한 견적’ ‘예산 맞춤’ ‘추가 비용 없음’ 등이 덧붙였다.
고객들은 ‘사후 관리’(8.3%) ‘전문성’(8%) ‘깔끔한 마무리’(7.5%)도 중요한 요소로 언급했다. “하자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걸 잘 아는데 신속하게 보수해주셔서 리뷰를 쓴다”(유저 팡팡퐁당) “주방 구조를 생각지도 못한 방법으로 해결해주셨다”(유저 Heej223) 등이다.
오늘의집 인테리어에는 약 1만9000여개 업체에 대한 리뷰 약 3만건이 등록돼 있다. 각 인테리어 업체를 클릭하면 AI로 해당 업체의 리뷰에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 분석 결과를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의집 인테리어 관계자는 “각 업체의 특장점을 AI 리뷰로 쉽게 알 수 있다”며 “고객 입장에선 중시하는 포인트에 강점을 가진 업체를 고르기 쉽고, 업체 입장에선 고객이 어떤 평가를 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HNIX, ‘에듀테크코리아페어’서 차세대 3D 저작 플랫폼 ‘모델릭 플러스’ 새 버전 공개
HNIX(에이치엔아이엑스, 대표 차동원)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열린 ‘2025 에듀테크코리아페어’에서 차세대 3D 저작 플랫폼 ‘모델릭 플러스’의 새로운 버전(Modelic Plus v2.5)을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전시를 통해 HNIX는 모델릭 플러스의 신규 XR(확장현실) 서비스와 연내 출시 예정인 AI(인공지능) 기반의 3D 콘텐츠 생성 기능을 선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과 XR 산업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먼저 모델릭 플러스의 AI 기능은 텍스트 설명이나 간단한 이미지만으로도 고품질의 3D 오브젝트와 공간을 자동 생성한다. 전문 툴이나 코딩 지식이 없어도 학생과 교사가 손쉽게 창작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제작된 콘텐츠는 PC, 모바일, XR 기기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업 현장에서 곧바로 체험형 학습으로 확장할 수 있다.
여기에, 모델릭 플러스의 XR 서비스는 누구나 직접 XR 콘텐츠를 제작·체험할 수 있는 원스톱 환경을 제공한다. 기존 XR 콘텐츠는 주로 전문가와 기업이 제작하고 사용자는 소비하는 방식에 머물렀지만, 모델릭 플러스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3D 오브젝트와 공간이 PC와 모바일 환경 등에서 즉시 실행되며 XR 기기를 통해 몰입형 실감 체험으로 확장된다.
HNIX는 모델릭 플러스를 통해 교육 현장은 물론 일반 사용자, 창작자, 기업 등까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3D 콘텐츠 제작 생태계가 열릴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XR 기기의 출시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모델릭 플러스가 다양한 이들의 3D 콘텐츠 니즈를 만족시켜주는 대중화된 ‘에코서비스’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기대 중이다.
한편, HNIX는 솔루션, 컨설팅, 정보보안 등에 관련된 시스템 개발 및 운영, 유지보수 업무를 제공하는 토탈 IT 서비스 기업이다. 신사업 중 하나로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3D 콘텐츠를 제작하고 체험할 수 있는 3D·XR 기반 창작·교육 플랫폼인 모델릭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모두가 3D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는 비전 아래 HNIX는 교육·산업·문화 전반에서 AI와 XR을 결합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며 미래형 학습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비스테이지, ‘트로트 여제’ 송가인 공식 홈페이지 오픈
비스테이지(b.stage)가 트로트 여제 송가인의 공식 홈페이지를 오늘(22일) 오후 12시 오픈한다. 이번 오픈으로 팬들에게 아티스트의 음악과 활동을 공식적으로 아우르는 새로운 소통의 장이 마련됐다.
송가인은 여성 트로트 가수 최초로 비스테이지에 공식 홈페이지를 열며 팬들과의 접점을 넓혔다. 이번 공식 홈페이지는 소속사 주도로 운영되는 아티스트 전용 공간으로, 송가인의 음악과 무대, 다양한 콘텐츠를 집약해 제공한다. 메인 홈에는 최근 발매된 신곡 '사랑의 맘보'를 비롯해 음반 목록, 공식 영상과 사진, 활동 소식이 정리돼 있어 팬들이 아티스트의 전체 활동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중심 허브 역할을 한다. 더불어 기존 팬카페와의 시너지를 통해 팬덤과 아티스트 간 소통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트로트 팬덤의 특성을 고려해,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편리하게 아티스트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으로 설계된 것도 이번 홈페이지의 특징이다.
특히 이번 공식 홈페이지 오픈과 함께 다양한 공식 굿즈 판매도 시작된다. '2025 어게인 모자', '2025 어게인 쿨기능성 반팔 카라티', '사랑의 맘보 포토 픽 스탠드' 등 팬들을 위한 특별한 MD 상품들이 준비돼 있고, 팬들은 비스테이지의 글로벌 이커머스 시스템을 통해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
송가인은 2019년 TV조선 ‘미스트롯 시즌 1’에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국민적 사랑을 받았다. 당시 ‘미스트롯 신드롬’을 이끌며 정통 트로트 창법과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트로트 여제’라는 수식어를 얻었고, 트로트 장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며 세대를 아우르는 대표 트로트 아티스트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그는 세심한 팬 서비스와 진정성 있는 교류로, 연령대가 높은 팬들이 주를 이루는 트로트 팬덤 특성상 활발한 활동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오히려 적극적인 응원과 참여 문화를 이끌어냈다. 이를 통해 기존에 K-POP 팬덤에서 주로 볼 수 있던 열정적이고 조직적인 활동 양상이 트로트 장르에서도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방송이슈] 오늘의집 "유저가 인테리어 업체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外
기사입력:2025-09-22 15:26: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748.37 | ▲91.09 |
코스닥 | 865.41 | ▲0.69 |
코스피200 | 524.45 | ▲13.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147,000 | ▲479,000 |
비트코인캐시 | 779,500 | ▼1,000 |
이더리움 | 5,942,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40 | ▼120 |
리플 | 3,569 | ▼9 |
퀀텀 | 2,973 | ▼2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130,000 | ▲340,000 |
이더리움 | 5,944,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40 | ▼130 |
메탈 | 771 | ▼8 |
리스크 | 343 | ▼3 |
리플 | 3,573 | ▼9 |
에이다 | 989 | ▼5 |
스팀 | 14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00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777,000 | ▼4,000 |
이더리움 | 5,94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80 | ▼120 |
리플 | 3,570 | ▼10 |
퀀텀 | 2,966 | ▼21 |
이오타 | 212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