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서강대학교(총장 심종혁)는 본교 기계공학과 이승원 학부연구생이 최지성 연구원(석박사통합과정), 강성민 교수와 함께 스티커처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반사 방지 필름을 개발해 유연한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7월 29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 (JMST, JCR 상위 0.5%)에 온라인에 게재됐다.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빛 반사다. 특히 얇고 구부러지는 유연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FPSC)는 차세대 전자기기로 주목받고 있지만, 약 10% 이상의 입사광이 반사되어 성능 저하가 불가피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굴절률이 다른 고분자 재료를 결합해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300나노미터 크기의 돔 형태 나노구조를 배열한 스티커형 다층 반사 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은 에탄올을 활용한 독창적인 분리 공정으로 손상 없이 구현되었으며, 기판에 손쉽게 부착·탈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코팅 방식과 차별성을 가진다.
개발된 필름은 유리와 고분자 기판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유연 기판 위에서는 투과율이 94.8%까지 향상되고 반사율은 5%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를 실제 FPSC에 적용한 결과, 단락전류밀도(Jsc)가 기존 대비 약 6% 증가했으며, 발전 효율(PCE)은 21.3%에서 22.6%로 개선됐다. 또한 1만회 이상 반복 탈부착 및 구부림 테스트 후에도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계적 내구성이 확인됐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차세대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LED, 광센서 등 빛을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성능 향상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재료 분야 학술지(IF : 14.3, JCR : 상위 0.5%)에 게재됐으며, 서강대학교의 최지성 연구원, 이승원 학부연구생이 1저자로, 강성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서강대 이승원 학부연구생, 고분자 다층 반사방지 필름 응용 논문 JMST에 게재
기사입력:2025-08-27 15:55: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6.01 | ▼10.31 |
코스닥 | 796.91 | ▼1.52 |
코스피200 | 430.12 | ▼1.6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230,000 | ▼954,000 |
비트코인캐시 | 739,500 | ▼4,500 |
이더리움 | 6,050,000 | ▼7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00 | ▼330 |
리플 | 3,911 | ▼54 |
퀀텀 | 3,993 | ▲24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120,000 | ▼883,000 |
이더리움 | 6,044,000 | ▼7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60 | ▼310 |
메탈 | 998 | ▼6 |
리스크 | 525 | 0 |
리플 | 3,906 | ▼57 |
에이다 | 1,154 | ▼7 |
스팀 | 18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220,000 | ▼910,000 |
비트코인캐시 | 739,500 | ▼3,500 |
이더리움 | 6,045,000 | ▼7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20 | ▼240 |
리플 | 3,912 | ▼51 |
퀀텀 | 3,949 | ▲235 |
이오타 | 27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