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스치는 바람만 맞아도 아플 정도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질병, 통풍(痛風)은 ‘출산의 고통’에 비유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겪는 질환이다. 흔히 ‘고기와 술을 많이 먹는 중년 남성의 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폐경 후 여성 환자가 증가해 실제로는 남녀 모두가 경계할 질환이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의 농도가 높아서 과도하게 축적된 요산이 결정화되어 관절과 관절주변 조직에 침착,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극심한 관절 통증과 염증이 갑자기 찾아오는 ‘발작’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발작 시간을 잘 견뎌내고 아픔이 사라져도 만성 신장병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통풍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한다.
이대목동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지수 교수는 “여성의 통풍 유병률은 남성보다 2~3배 낮지만, 폐경 이후에는 유병률이 점차 증가해 70세 이상에서는 남성과 비슷한 수준에 이른다”라며 “이는 여성호르몬이 요산의 배설을 촉진해 가임기 여성에서 통풍 발생을 억제하다가, 폐경 후 호르몬 감소로 발병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통풍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적게 발생하는 것은 남성호르몬이 요산의 생성을 늘리고 배설을 줄이는 반면, 여성호르몬은 콩팥에서 요산배설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폐경 후에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 이 효과가 사라지면서 여성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통계에 따르면 2024년도 여성 통풍환자는 ▲10대 337명 ▲20대 1,800명 ▲30대 3,001명 ▲40대 4,870명에 불과했지만, 폐경기인 50대부터는 ▲50대 7,536명 ▲60대 8,629명 ▲70대 6,760명 ▲70대 6,733명으로 환자 수가 증가했다.
여성 통풍은 남성과 다른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데, 여성 환자 중 고혈압, 당뇨, 비만, 만성콩팥병, 이뇨제 사용 등으로 통풍에 걸리는 비율이 남성보다 2~3배 높다. 반면, 남성 환자는 술·고기 등 식습관과 유전적 영향에 더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여성은 술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작 부위에도 차이가 있다. 남성은 주로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급성 발작이 나타나지만 여성은 발목이나 무릎 등 비전형적인 부위가 침범되는 경우가 많아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기도 한다.
이 교수는 “여성 통풍의 진단과 치료를 개선하려면, 통풍이 여성에게도, 특히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라는 점에 대해 환자, 의료진,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성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전략도 필요하다. 고혈압, 당뇨, 만성콩팥병 등 동반질환을 철저히 관리하고, 생활습관 교육을 할 때 술이나 고기 섭취의 제한보다 액상과당이 함유된 음료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요산저하제 사용 시 효과와 부작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통풍, 70세 이상 여성·남성 통풍환자 수 비슷한 수준"
기사입력:2025-08-18 18:44:3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3.59 | ▲33.50 |
코스닥 | 782.78 | ▲5.17 |
코스피200 | 427.71 | ▲4.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29,000 | ▲105,000 |
비트코인캐시 | 783,000 | ▲2,000 |
이더리움 | 6,008,000 | ▲2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80 | ▲40 |
리플 | 4,095 | ▲20 |
퀀텀 | 3,217 | ▼7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54,000 | ▲200,000 |
이더리움 | 6,011,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00 | ▲80 |
메탈 | 1,030 | ▲6 |
리스크 | 541 | ▲1 |
리플 | 4,090 | ▲16 |
에이다 | 1,234 | ▲17 |
스팀 | 18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4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783,500 | ▲2,000 |
이더리움 | 6,010,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10 | ▲90 |
리플 | 4,096 | ▲24 |
퀀텀 | 3,260 | ▼73 |
이오타 | 27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