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네이버가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커머스 서비스 뿐 아니라 카페∙밴드∙블로그 등 커뮤니티 기반 UGC 영역으로까지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는 그동안의 ‘안심보장’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조상품 신고 건수와 게시물 등록 건수가 급감하고 있다.
네이버는 위조상품에 대해 AI 탐지 및 모니터링으로 판매자 신뢰도 점검 및 거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사전 차단하고, 도용 의심몰을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 조치를 강화 중이다. 이에 더해 원스트라이크 아웃, 구매보호조치 등 ‘위조상품 클린프로그램’ 정책을 병행하며 월 평균 1천 개가 넘는 몰들을 사전 차단한 결과, 올해 쇼핑 영역에서의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을 95.6%까지 끌어올렸다.
또 플랫폼의 직접 감정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협력하는 권리사와 브랜드사를 300여 곳으로 확대하고, 전문 감정기관과 협업하는 등 위조 의심 상품에 대한 감정 의뢰와 검증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허청의 ‘위조상품 유통 방지 협의체’에 10년 이상 참여하며 자율규제 노력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안심보장 활동의 역량과 노하우는 UGC 생태계로도 빠르게 확장 중이다. 카페와 밴드에서는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 검색 결과 노출을 차단하고, 관련 커뮤니티 개설과 게시글 등록을 제한하는 사전 기술 대응 조치에 주력하고 있다. 또 블로그 및 카페에서는 위조상품 판매와 홍보 게시글 차단을 위한 탐지 툴을 고도화하고, 개별 커뮤니티 단위로 제재 조치를 넓히고 있다.
그 결과 카페∙밴드∙블로그에서의 위조상품 판매 게시중단 신고는 매년 급감해 2025년 상반기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 네이버는 연내 밴드에서 가품 신고 메뉴 접근성을 더욱 개선하고, 위조상품 자동 탐지 기능을 고도화 하는 등 UGC 영역에서의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오는 9월 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도 도입해 쇼핑 서비스 내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으로부터 권리바와 구매자 보호에 더 적극적으로 나선다. 권리자의 동의 없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상표권이나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상품을 등록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네이버는 동일 판매자가 한 주에 20건 이상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주의(1회)-경고(2회)-제재(3회 이상)가 적용되며, 계속해서 반복된 침해가 발생될 경우 판매몰의 모든 상품이 일정 기간 쇼핑검색에 미 노출되는 등 단계별 조치를 강화한다.
또한 현금 직거래 유도, 외부 피싱 사이트 유인 등 피싱 패턴을 감지하는 탐지 툴을 개선하고, 아성 판매자 및 의심몰에 대해 사전 조치를 강화한 결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누적 구매자 피해 신고 건수도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
아울러 의약품 및 동물 의약품의 온라인 유통 차단을 위한 노력도 이어간다. 식약처와 핫라인을 구축해 안전 상품 DB를 쌓아가고, 정책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위해 상품으로부터 구매자를 더 적극적으로 보호할 계획이다.
네이버 정책/RM 유봉석 부문장은 “네이버는 기술과 정책적 노하우가 축적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위조 및 위해상품으로부터 구매자들을 보호하고, 나아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쇼핑 환경을 만드는 데에 함께 힘쓰고 있다"며 “쇼핑, UGC 등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확대해 건강한 플랫폼 환경을 구축해 서비스 신뢰도를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네이버, UGC 서비스까지 안심거래 생태계 확장
기사입력:2025-08-05 10:18:5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5.66 | ▲1.29 |
코스닥 | 815.26 | ▲1.16 |
코스피200 | 436.5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446,000 | ▼254,000 |
비트코인캐시 | 821,500 | ▼3,500 |
이더리움 | 6,142,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70 | ▼30 |
리플 | 4,282 | ▼8 |
퀀텀 | 2,84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552,000 | ▼302,000 |
이더리움 | 6,134,000 | ▼3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80 | ▼80 |
메탈 | 998 | ▼4 |
리스크 | 560 | ▲1 |
리플 | 4,283 | ▼11 |
에이다 | 1,299 | ▼14 |
스팀 | 181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46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823,000 | ▼2,000 |
이더리움 | 6,145,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90 | ▲60 |
리플 | 4,285 | ▼10 |
퀀텀 | 2,810 | 0 |
이오타 | 27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