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콘텐츠 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업 산돌(대표 윤영호)이 인공지능(AI) 서비스 전문기업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사는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윤영호 산돌 대표와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력은 산돌이 안정적인 구독형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을 기반으로 구축해온 수익 구조에 생성형 AI와 영상·더빙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 하게된다. 고성장 중인 AI 콘텐츠 제작 시장에 본격 진입함으로써,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변화와 중장기 성장성을 한층 강화된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산돌의 구독형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에 이스트소프트의 AI 기반 영상 더빙 서비스 페르소닷에이아이(PERSO.ai)를 연동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외부 프로그램 없이 산돌구름 내에서 AI 기반 다국어 영상 더빙 및 전문 폰트를 활용한 자막 활용까지 원스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페르소닷에이아이는 이스트소프트가 자체 개발한 SaaS 기반 AI 휴먼·다국어 영상 제작 플랫폼으로 텍스트 입력만으로 110개 언어의 음성과 AI 휴먼이 포함된 영상을 자동 생성한다. 숏폼 콘텐츠부터 교육, 기업 홍보 영상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글로벌 사용자 비중이 80%에 달할 정도로 해외 수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산돌은 이스트소프트 협력 외에도 최근 LG CNS와 협력해, AI 이미지 생성 웹에디터 기술을 산돌구름에 연동하기로 했다. 해당 서비스는 단어 몇 개만 입력하면 AI가 프롬프트를 자동 완성하고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 도구로, 콘텐츠 제작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처럼 산돌은 이스트소프트의 AI 영상 더빙 기술과 LG CNS의 이미지 생성 기술을 산돌구름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함으로써, 고객이 자막·폰트부터 영상, 이미지 제작까지 콘텐츠 제작 전 과정을 통합 경험할 수 있는 AI 기반 콘텐츠 제작 허브를 구현하고 있다.
산돌 윤영호 대표는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핵심 경쟁력”이라며 “산돌은 이번 협력을 통해 폰트를 넘어 AI 기반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크리에이터들의 실질적인 제작 파트너가 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롯데시네마, 8월 <광음시네마> 라인업 공개
복합문화공간 컬처스퀘어(Culture Square)를 지향하는 롯데시네마가 ‘광음시네마’에서 만나볼 수 있는 8월 신작 라인업을 공개했다.
‘존 윅 유니버스’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 <발레리나>가 8월 6일 개봉한다.
'발레리나'는 암살자 조직 루스카 로마에서 킬러로 성장한 '이브(아나 데 아르마스)'가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진실을 쫓던 중 전설적인 킬러 '존 윅(키아누 리브스)'과 마주하고, 킬러들이 장악한 정체불명의 도시에서 피의 전쟁을 벌이는 액션 블록버스터이다.
‘존 윅’ 시리즈의 고유성을 이으면서도 더 확장된 세계관으로 팬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매 시리즈마다 창의적인 액션과 차별성 있는 시퀀스를 선보여온 <존 윅> 시리즈답게 <발레리나>도 시선을 이끄는 시그니처 액션들이 펼쳐진다.
물리적 힘의 차이를 극복하고 냉철하고도 빠른 스피드로 진행되는 ‘이브’의 도파민 풀충전 액션 시퀀스들을 광음시네마의 음압 증폭 사운드를 통해 한층 더 몰입하여 감상 할 수 있다.
오는 8월 9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는 방탄소년단 진의 솔로 팬콘서트 ‘#RUNSEOKJIN_EP.TOUR in AMSTERDAM’을 8월 10일 극장 라이브뷰잉으로 선보인다.
진의 솔로 앨범 수록곡과 더불어 방탄소년단 단체곡 메들리를 대형 스크린과 화려한 퍼포먼스로 선보이는 가운데 광음시네마의 초극저음 우퍼 사운드로 구현된 생생한 입체 음향으로 생생한 공연장의 현장감과 진의 폭발적인 라이브에서 전달받는 감동을 극장에서도 느낄 수 있다.
◆제논, 한국어 기반 32B 생성형 AI 모델 ‘훈민’ 시리즈 공개
생성형 AI 솔루션 전문기업 제논(옛 마인즈앤컴퍼니, 대표 고석태)이 한국어 기반의 고성능 생성형 AI 모델인 ‘훈민(Hunmin)’ 시리즈를 공개했다고 31일 밝혔다.
대규모 언어모델(LLM) ‘Hunmin-32B v0.1’과 이미지-텍스트 멀티모달 모델(VLM) ‘HunminVL-32B v0.1’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문서 요약, UI 조작, 시각 정보 해석 등 한국어 기반의 실용적 AI 에이전트 구축을 목표로 설계된 32B 파라미터급 모델이다. 한국어 처리 능력에 강점을 보이면서도 추후 다국어 및 멀티모달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학습됐다. 두 모델은 각각 지난 10일과 24일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Face)를 통해 개발자 프리뷰(알파) 형태로 공개됐다.
제논이 공개한 생성형 AI 모델 ‘훈민’ 시리즈는 ‘컴퓨터 유즈(Computer Use)’ 에이전트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예정이다. 컴퓨터 유즈는 사람이 실제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듯 AI가 화면을 보고 버튼을 클릭하고 문서를 읽고 판단을 내리는 방식의 자동화 기술로, 제논이 특히 연구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분야다. 제논은 모델뿐 아니라 학습 데이터, 정제·라벨링·합성 파이프라인, 코드 및 학습 레시피 전반을 함께 공개해 재현성과 기술 투명성을 높였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방송이슈] 산돌, 생성형 AI 기반 영상 사업 본격화 外
기사입력:2025-07-31 13:03: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5.66 | ▲1.29 |
코스닥 | 815.26 | ▲1.16 |
코스피200 | 436.5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884,000 | ▼49,000 |
비트코인캐시 | 817,500 | ▲500 |
이더리움 | 6,294,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310 | ▼40 |
리플 | 4,328 | ▲5 |
퀀텀 | 3,035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740,000 | ▼185,000 |
이더리움 | 6,29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300 | 0 |
메탈 | 1,058 | 0 |
리스크 | 579 | ▲1 |
리플 | 4,329 | 0 |
에이다 | 1,342 | ▲22 |
스팀 | 19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820,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818,000 | ▲500 |
이더리움 | 6,29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310 | ▲10 |
리플 | 4,327 | ▲2 |
퀀텀 | 3,024 | 0 |
이오타 | 29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