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법무법인 광장(대표변호사 김상곤)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소공동 광장 신관 아카데미아실에서 ‘제11회 국제중재 및 기업범죄 포럼(South Korea: 11th International Arbitration & Corporate Crime Summit)’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올해로 11회를 맞은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글로벌 분쟁환경 속에서 중재 및 조정 실무의 전략적 활용, 기업지배구조 관련 분쟁, 건설 관련 분쟁, IP 관련 분쟁 등을 다층적으로 조망한 자리였다. 국내외 중재 전문가, 사내변호사, 정부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신청해 열띤 관심을 보였다.
개회사에서 박은영 광장 국제분쟁그룹장(사법연수원 20기)은 한국 국제중재시장이 IMF 이후 가파른 성장을 거듭해왔음을 짚으며, 향후에는 글로벌 무역 갈등, 산업별 규제 강화 등에 따라 헬스케어, 반도체, 전기차 등 산업군에서의 분쟁 리스크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영문 계약서를 한국법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구조적 불일치 문제는 절차적 혼선과 해석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국제계약 설계 단계에서 법체계 간 조화를 염두에 둔 정교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광장 국제중재팀 공동팀장인 잭 샤프(Zac Sharpe) 외국변호사 등이 중재 및 조정에 관한 전세계적 흐름 및 실무적 쟁점을 집중 조명했다. 잭 샤프 변호사는 특히 다단계 분쟁해결조항(Multi-tier Dispute Resolution Clauses)에 대하여 JV, 건설, 거래계약 등에서의 모호한 문구는 실제로 실효성이 낮은 절차로 작동하거나, 추가적인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러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하여 ▲조건선행조건(condition precedent) 형식의 표현 지양, ▲‘친화적 논의’ 등 애매한 용어 배제, ▲조항 도입 목적과 실질 효과에 대한 사전 검토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 BABA법과 유럽의 조달규제 변화, 사우디 ‘NEOM’ 프로젝트, 동남아시아 클레임 정량화 이슈를 중심으로 건설 분쟁의 국제적 리스크와 실무 대응방안이 논의됐다. 패널은 공급망 규제, 계약 문서화 실패, 설계 변경 등으로 인한 분쟁 증가 가능성을 지적하며, 계약 체결 단계에서 사전 대응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광장 국제중재팀 파트너인 신정아 외국변호사 등이 패널로 참여하여 한국 및 외국 기업에서 주주, 이사, 이해관계자 간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사내변호사를 위한 계약설계 및 분쟁예방 관련 실무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신 변호사는 주주간 계약(Shareholders Agreement) 내 Deadlock 조항의 부재가 수년간 중재로 이어진 사례를 들며, 풋옵션 조항에는 평가사 지명 실패 시 적용되는 대체 절차를 반드시 규정하고, Exit 조건, 평가 기준일 등 세부사항도 구체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네 번째 세션에서는 암호화폐 자산 추적, AI 기반 디지털 사기, 사이버보안 리스크 등을 중심으로 기술분쟁의 실무 쟁점을 조명했다. NFT/SBT를 활용한 송달, 글로벌 자산 회수 전략, Deepfake 범죄 대응 등 최신 이슈를 다루며, 법무팀의 보안 감수성 제고 필요성이 강조됐다.
이번 포럼은 단순한 제도 소개를 넘어, 국제계약과 분쟁을 실질적으로 다루는 전문가들이 현장의 전략과 교훈을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으며,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식과 인사이트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을 이끌어냈다.
광장 국제분쟁그룹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전통적인 중재와 소송 이슈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과 조달규제, 초대형 개발사업의 리스크, 암호화폐 자산 추적, 생성형 AI와 IP 분쟁 등 다양한 분야의 시의성 있는 쟁점들을 짚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빠르게 진화하는 산업·기술 환경 속에서 기업과 법무 실무자들이 글로벌 분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무 중심의 포럼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법무법인 광장, ‘제11회 국제중재 및 기업범죄 포럼’ 성료
기사입력:2025-07-25 18:13:1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0.09 | ▼21.47 |
코스닥 | 777.61 | ▼10.35 |
코스피200 | 423.66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01,000 | ▲251,000 |
비트코인캐시 | 774,000 | ▲5,000 |
이더리움 | 5,915,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20 | ▲210 |
리플 | 4,062 | ▲39 |
퀀텀 | 2,816 | ▲3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374,000 | ▲407,000 |
이더리움 | 5,921,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10 | ▲220 |
메탈 | 1,006 | ▲5 |
리스크 | 538 | ▲5 |
리플 | 4,063 | ▲42 |
에이다 | 1,200 | ▲12 |
스팀 | 17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7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773,500 | ▲4,500 |
이더리움 | 5,915,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60 | ▲290 |
리플 | 4,060 | ▲39 |
퀀텀 | 2,780 | 0 |
이오타 | 27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