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SOOP은 여행 콘텐츠가 한층 다채로워지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SOOP 관계자는 "화면 속에 머물던 버추얼 스트리머는 현실 공간에 등장하고, 여행 스트리머는 장기 시리즈를 기획해 콘텐츠에 세계관을 입히고 있다"라며 "나아가 지역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 브랜딩과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며 콘텐츠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SOOP의 ‘실시간성’과 ‘참여성’이 있다"라며 "편집 영상 중심의 일반적인 여행 콘텐츠와 달리 SOOP에서는 유저가 여행의 동행자로 참여한다. 어디로 갈지, 무엇을 먹을지,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가 전개될지, 모든 흐름은 실시간 채팅을 통해 결정된다"라고 전했다.
스트리머들 역시 ‘어디를 가느냐’보다 ‘어떻게 여행하느냐’에 주목한다. 유저와의 소통을 바탕으로 즉흥적인 여정을 만들어내고, 일상의 여행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콘텐츠화하며 실시간 여행 생태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SOOP의 여행 콘텐츠는 유저와 스트리머가 함께 만들어가는 여정이다. 다른 플랫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편집된 브이로그나 관광 정보 중심의 콘텐츠와 달리,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SOOP에서는 여행의 '과정'이 중심이 된다.
어떤 스트리머는 여행을 떠나기 전부터 유저들과 일정과 목적지를 정하고, 현지에 도착해서도 채팅을 통해 음식점이나 명소 추천을 받아 동선을 결정한다. 또 다른 스트리머는 유저의 제안에 따라 전혀 예상하지 못한 장소로 향하거나 즉흥적인 챌린지를 수행하기도 한다.
라이브 여행 콘텐츠의 흐름 속에서 스트리머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장르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화면 속 캐릭터에 머물렀던 버추얼 스트리머들이 오프라인 현장에 등장하면서 새로운 방식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트리머 ‘홍타쿠’는 태블릿 속 버추얼 스트리머와 함께 거리를 걷는 ‘버추얼 데이트’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인간 스트리머가 버추얼 스트리머에게 옷을 입혀주고 음식을 먹여주는 등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신선한 장면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버추얼 스트리머 ‘고세구’는 자신이 기획한 오프라인 팝업 전시에 특별한 방식으로 참여했다. 현장 스태프가 1인칭 시점 카메라를 들고 이동하며 방송을 진행했고, 스트리머는 실시간 화면을 보며 유저들과 함께 전시장을 체험했다. 같은 장면을 함께 보고 소통하며, 현장에 있지 않아도 함께 있는 듯한 몰입감을 만들어내며 큰 호응을 얻었다.
SOOP의 여행 콘텐츠는 단순한 여행기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기획과 시리즈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스트리머들은 특정 지역이나 테마를 중심으로 꾸준히 이야기를 이어가며, 콘텐츠의 몰입도를 높이고 있다.
스트리머 ‘봉준’의 크루 ‘무수’ 멤버들은 민박집을 운영하는 설정의 예능형 여행 콘텐츠 ‘무수네민박’을 3일간 진행했다. 요리부터 청소까지 생생하게 중계된 콘텐츠는 유저들에게 높은 몰입감을 전달했고, 이후 편집본으로도 제공되며 재시청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무수’ 크루 소속 스트리머 ‘이지상’은 2주 동안 무인도에서 생존하는 콘텐츠를 진행하며 “함께 생존하는 기분이었다”는 유저 반응을 이끌어내며 강한 팬덤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처럼 스트리머의 세계관과 색깔이 녹아든 장기 프로젝트는 단순한 여행 방송을 넘어, 하나의 브랜드 콘텐츠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SOOP, "실시간 여행 생태계 확장 중이다"
기사입력:2025-07-24 13:58: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41.74 | ▲11.65 |
코스닥 | 777.24 | ▼0.37 |
코스피200 | 424.41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357,000 | ▼393,000 |
비트코인캐시 | 774,500 | ▼4,000 |
이더리움 | 5,953,000 | ▼3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20 | ▼250 |
리플 | 4,032 | ▼20 |
퀀텀 | 3,224 | ▲2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297,000 | ▼503,000 |
이더리움 | 5,952,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20 | ▼230 |
메탈 | 1,010 | ▼8 |
리스크 | 533 | ▼4 |
리플 | 4,031 | ▼23 |
에이다 | 1,209 | ▼8 |
스팀 | 183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270,000 | ▼430,000 |
비트코인캐시 | 774,000 | ▼4,000 |
이더리움 | 5,950,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630 | ▼330 |
리플 | 4,030 | ▼23 |
퀀텀 | 3,210 | ▼25 |
이오타 | 274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