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진흥원, 2025 몽골 문화예술교육 ODA 성료

기사입력:2025-06-30 17:39:35
[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박은실, 이하 교육진흥원)은 몽골 국립인형극장과 6월 16일부터 27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 소재 국립인형극장 및 인근 광장 일대에서 문화예술교육 공적개발원조(이하 문화예술교육 ODA) 프로그램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30일 밝혔다.

◆ 개발도상국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 협력...4개국 4,000여 명에게 제공

문화예술교육 ODA는 개발도상국의 문화예술교육 혁신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개발협력 사업이다. 수원국의 국가개발전략과 현지 수요에 맞춰,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자원과 현지 전문인력을 연결해 지역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보급을 지원·협력한다.

교육진흥원은 2013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2018), 필리핀·몽골(2024)로 협력 국가를 확대해왔다. 지난 12년간 총 4개국에서 예술가 및 교사 1,000여 명, 현지 아동‧청소년·주민 등 3,100여 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약 4,100여 명이 혜택을 받았다.

◆ 몽골 국립인형극장과 3년 연속 협력...1인극 창작 중심 연수 프로그램 선보여

교육진흥원은 몽골 현지에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 2023년부터 몽골 문화부 산하 몽골 국립인형극장과 협력하여 왔다.

올해 문화예술교육 ODA 또한 몽골 국립인형극장과 협력해 ‘작은 인형극장’을 주제로 한 1인극 창작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이어, 국립인형극장 소속 종사자와 외부 초청 예술가 대상 전문인력 연수, 지역주민을 위한 참여형 워크숍 등 각종 연수 프로그램과 1인극 공연을 선보이는 축제를 개최했다.

6월 16일부터 24일까지는 예술가·연기자·인형극 제작자 등 전문인력 34명을 대상으로 공연예술 분야 국내 전문가 4인이 참여한 연수가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1인 인형극 공연의 역사와 이론, 공연을 위한 모형 소극장 설계 기술을 배우고, 헌 그림책을 활용한 팝업 무대책 제작, 교육 교안 작성 등 실습 중심의 연수를 진행했다.

이후, 25일부터 26일까지는 연수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 아동·청소년·주민 대상 참여형 워크숍과 1인극 공연 축제를 개최했다. 국립인형극장 외부 광장에서 진행된 축제에서는 팝업 무대책 만들기 체험과 34편의 1인극 공연이 펼쳐졌다.

◆ 연수·공연·토론으로 이어진 교류의 장...몽골 정부 및 주요 매체 높은 관심 보여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한국 연수강사, 몽골 국립인형극장 및 문화예술 기관 관계자, 교육진흥원 국제예술교육연구소가 참여한 라운드테이블이 열려 지난 3년간의 협력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다양한 연령의 주민 총 300여 명이 참여해 현지 언론(NTV, UBN, Eagle TV, Mongol HD, Zarig)의 관심도 높았다.

몽골 국립인형극장의 바얀줄(Bayanzul) 단장은 “1인 인형극 제작 연수 등 창작형 교육 콘텐츠가 예술가와 주민 모두에게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경험으로 다가갔다. 이러한 새로운 예술교육을 통해 예술향유의 범주를 넓혀가길 바란다”며 교육진흥원과의 지속적 협력 의사를 전달했다.

몽골 문화부 예술정책시행국 세르겔렌 볼드(Sergelen Bold) 국장은 “2025년은 몽골과 한국이 수교 35주년을 맞아 다양한 교류활동이 펼쳐지고 있다”며,“앞으로도 교육진흥원과 국립인형극장의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사업을 교두보 삼아 양국 간 문화 협력을 확장해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교육진흥원 박은실 원장은 “올해 몽골 ODA 사업을 시작으로 하반기 인도네시아·필리핀 ODA 사업과 더불어 앞으로도 여러 국가와 중장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0.32 ▲38.62
코스닥 786.11 ▲4.61
코스피200 420.23 ▲5.6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600,000 ▼127,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0
이더리움 3,38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580 ▲30
리플 3,050 ▼4
퀀텀 2,676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644,000 ▼233,000
이더리움 3,38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590 ▲50
메탈 902 ▲0
리스크 510 ▲0
리플 3,049 ▲4
에이다 781 ▲2
스팀 17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61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685,500 ▼1,000
이더리움 3,38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540 ▼100
리플 3,050 ▼7
퀀텀 2,671 ▼22
이오타 217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