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1. 그림을 그리는 A씨는 예술인 기회소득을 받고 개인전시회 개최라는 꿈을 실현했다. 이전까지 A씨는 주 6~7일 작품활동에 매진했지만, 월 소득은 200만원이 안 돼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는 그룹전 참여(회당 약 30만원)가 큰 부담이었다. A씨는 연 150만원의 예술인 기회소득으로 벌써 두 번의 전시회(국제전)에 참여했다. A씨는 “경기도는 시들어 가던 저의 꿈에 아무런 조건 없이 든든한 손을 내밀었다. 꿈을 펼칠 기회를 줘서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2. 신장·시각 중복장애를 가지고 있는 B씨는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 참여 이후 매주 약 1만 2천보 정도 꾸준히 걷게 됐고, 최근 병원에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감소했다는 의사의 진단을 받아 복용 중인 당뇨약도 줄였다. B씨는 “이번 계기로 운동하는데 용기와 책임감이 생기고 운동량을 스마트워치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건강에 도움이 됐다” 며 “내년에도 더 많은 분들이 기회를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민선 8기 대표 정책인 기회소득 시행 첫해인 올해 예술인 7천여명, 장애인 7천명 등 총 1만 4천여명에게 기회소득을 지급했다고 26일 밝혔다.
경기도는 내년 예술인 기회소득 지원 대상에 수원시를 추가해 총 28곳 1만 3천명으로 늘리고, 장애인 기회소득도 지원 대상을 7천명에서 1만명으로 확대하면서 액수도 하반기부터 월 5만원에서 10만원으로 높일 계획이다.
기회소득은 우리 사회에서 가치를 창출하지만,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대상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 기간 소득을 보전해 주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대표 정책이다.
예술인 기회소득은 도에 거주하는 예술활동증명유효자 중 개인소득이 중위소득 120% 수준 이하인 예술인에게 연 150만원을 2회에 걸쳐 지급한다. 도는 예술인이 일정 기간 기회소득을 받으면서 창의적인 예술 활동을 하고, 그 결과로 나오는 사회적 가치를 도민들이 함께 나누는 것이 예술인 기회소득의 정책 취지라고 설명했다.
올해엔 도내 27개 시군(수원, 용인, 고양, 성남 제외)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12월 현재 파주시 등 18개 시군은 4123명의 예술인을 지급 대상자로 선정하고 2차에 걸쳐 지급을 완료했으며, 나머지 9개 시군은 연말까지 지급을 마무리해 올해 도 전체 7천여명의 예술인이 기회소득을 받게 된다. 내년에는 수원시가 추가 사업에 참여해 총 28개 시군 거주 예술인 약 1만 3천명에게 예술인 기회소득이 지급될 예정이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정도가 심한 장애인’에게 월 5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심한 장애인이 스마트워치를 착용해서 1주 최소 2회 이상, 1시간 이상 활동하고 움직이면서 스스로 건강을 챙겨야 한다. 이를 통해 몸이 조금 덜 불편해진다든지 할 때 사회적 비용(의료비, 돌봄비용) 등이 감소하면 그 역시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본다. 장애인 가치활동에 대한 최초의 인정 사례이자 장애인 가치 활동에 대한 권익향상과 대국민 인식개선의 계기라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지난 7월 최초 지급 대상인 2천명에 10월 5천명을 추가하면서 총 7천명에게 장애인 기회소득을 지급했다. 내년 장애인 기회소득은 하반기부터 지원 액수가 월 5만원에서 10만원으로 늘어나 최대 12개월간 90만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원 규모도 1만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1차 참여자인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신체 활동이 주 1회 이하로 거의 없었던 인원이 전체 86.5%(1730명)를 차지했으나 장애인 기회소득 이후 2.7%(543명)로 급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예술인 기회소득과 장애인 기회소득 모두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 활성화를 위한 것” 이라며 “기회소득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확산될 수 있도록 내년 체육인, 농어민, 기후행동, 아동돌봄공동체 기회소득을 신설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경기도, 올해 예술인·장애인 기회소득 총 1만 4000명 지급···내년 규모 확대
내년 체육인, 농어민 등 기회소득 신설 추진 예정 기사입력:2023-12-26 13:29: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0.28 | ▲9.83 |
코스닥 | 809.12 | ▼0.77 |
코스피200 | 431.53 | ▲1.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98,000 | ▼118,000 |
비트코인캐시 | 718,000 | ▲20,500 |
이더리움 | 5,027,000 | ▲4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10 | ▲120 |
리플 | 4,278 | ▲26 |
퀀텀 | 3,120 | ▲4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82,000 | ▼114,000 |
이더리움 | 5,029,000 | ▲3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80 | ▲140 |
메탈 | 1,083 | ▲14 |
리스크 | 637 | ▲11 |
리플 | 4,280 | ▲21 |
에이다 | 1,105 | ▲10 |
스팀 | 198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40,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718,500 | ▲22,000 |
이더리움 | 5,030,000 | ▲3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60 | ▲270 |
리플 | 4,279 | ▲21 |
퀀텀 | 3,116 | ▼22 |
이오타 | 274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