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XPLA-카도(Kado) 파트너십카…카드로 XPLA 코인 구매 가능해진다 外

기사입력:2023-11-03 16:04:27
[로이슈 편도욱 기자] 글로벌 블록체인 메인넷 ‘XPLA(엑스플라)’는 웹3 결제 솔루션 기업 ‘카도(Kado)’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카도는 가상자산과 법정화폐간 자금 이동시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간편하게 결제를 중개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페이먼트 브릿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통상적으로 가상자산과 법정화폐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통하게 된다. 하지만, 카도 결제 솔루션은 가상자산 거래소를 거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XPLA 코인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카도가 제공하는 인프라는 타사의 결제 솔루션에도 쉽게 통합시킬 수 있어 확장성도 뛰어나다. 또한 KYC(고객정보확인) 인증이 가능한 세계 150여개 나라에 서비스되며 ‘비자카드’, ‘마스타카드’ 등 주요 결제수단과 연계해 가상자산의 활용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XPLA 참여자들은 카도 결제 솔루션으로 더 편하고 자연스럽게 웹3 경제에 접근할 수 있다. 폴 킴(Paul Kim) XPLA 팀 리더는 “카도는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웹3 경제를 성장시킬 기술적 발판을 제공했다”며 “카도의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세계 주요 경제 시장의 XPLA 참여자들은 XPLA 코인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카도의 공동창업자 빈스 다우들(Vince Dowdle)은 “카도는 웹3 콘텐츠의 잠재력을 신뢰하는 프로젝트로서 XPLA가 다수의 대작 게임 IP를 확보, 미래 웹3 게임의 흐름을 주도할만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번 파트너십의 의미를 밝혔다. 또한 “카도의 결제 시스템을 통해 수많은 XPLA 참여자들이 XPLA 코인을 어디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최선의 지원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XPLA는 컴투스 그룹을 비롯해 오아시스(Oasys),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 YGG, 블록데몬(Blockdaemon),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 레이어제로(LayerZero) 등 세계적 웹 3 기업들이 참여하는 레이어1 메인넷이다. 소환형 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미니게임천국’, 낚시의 신: 크루’, ‘닌자키우기 온라인’, ‘워킹데드: 올스타즈’ 등 히트 IP 기반의 웹3 게임을 잇달아 온보딩하며 글로벌 웹3 콘텐츠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니어 프로토콜, 차세대 오픈웹 이끈다 ‘니어콘2023’ 콘퍼런스 7일 개최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이 최대 규모의 웹3 글로벌 콘퍼런스 중 하나인 ‘니어콘2023(NEARCON)’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니어 프로토콜은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인 오픈웹을 지향하는 글로벌 레이어1으로 이더리움 등 여러 블록체인 레이어와 호환하는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BOS)’를 원동력 삼아 메인스트림 어답션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오픈웹으로의 진입’을 주제로 웹2·3 산업의 글로벌 리더들이 참여해 트렌드·기술·금융·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소통하는 교류의 장으로, 내달 7일부터 10일까지 4일에 걸쳐 진행된다.

콘퍼런스, 페스티벌, 해커톤 세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웹3 네이티브 기업들을 넘어 웹2 전통 기업들의 대거 참석을 통해 생태계의 저변을 넓힌다. 그동안 웹3 기업에만 초점을 뒀던 기존 콘퍼런스들과 달리 웹2 기업들에게도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의 연계를 강화하는 화합의 장을 마련했다.

니어 재단의 크리스 도노반(Chris Donovan) 최고 경영자, 니어 프로토콜의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 파운더, 구글의 제임스 트로먼스(James Tromans) 기술 이사, 아마존의 알렉상드르 마츠오(Alexandre Matsuo) 웹3 총괄, 안드레슨 호로위츠(a16z)의 마리아노 소르겐테(Mariano Sorgente) 투자 파트너 등 유수의 글로벌 리더들이 연사로서 혁신 기술을 소개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한국에서도 국내 웹3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SKT)의 오세현 부사장이 연사로 선다.

또한 웹2에서 웹3로 성공적으로 전환을 이룬 컨슈머 디앱(DApp)이자 글로벌 최대 활성 사용자를 보유해 일 평균 200만 건 이상의 온체인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카이카이(KAIKAI), 스웻코인(Sweatcoin) 등 최근 니어 프로토콜의 성장을 견인한 기업들에 더해 써클(Circle), 해시드(Hashed), 난센(Nansen), 마브렉스(넷마블), 볼텍스 게이밍(인벤) 등 강결합을 이룬 글로벌 웹3 기업들도 참여해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잠재적인 협업 기회를 모색한다.

◆스터디맥스, 평생교육바우처 공식 사용기관 선정

학습 습관을 설계하는 AI교육기업 스터디맥스가 ‘평생교육바우처 공식 사용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평생교육바우처는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사업으로, 평생교육 기회를 늘리기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을 대상으로 1회 35만원, 연간 70만원까지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스터디맥스는 평생교육바우처 공식 사용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지원금액 35만원에 맞춘 평생교육전용 과정 ‘두근톡 5개 코스’와 가성비를 높인 원어민 회화 프로그램 ‘3초 해외여행’을 개설한다. ‘두근톡’은 1인칭 시점으로 AI원어민을 마주하며 현실감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만든 AI영어회화 서비스다. 대답에 따라 스토리가 변하며, 상황에 따라 체계적으로 회화를 익힐 수 있게 구성됐다. ‘3초 해외여행’은 뉴욕, 하와이, 런던 등 세계 주요 도시의 현지 원어민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여행하듯 공부하는 실전 해외영어 프로그램이다.

스터디맥스 관계자는 “바우처 공식 사용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많은 고객들이 양질의 AI영어회화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금에 맞춘 전용 계좌를 개설했다. 부담 없이 영어실력을 꾸준히 키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369,000 ▲1,128,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4,500
이더리움 2,642,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4,320 ▲190
리플 3,218 ▲40
이오스 981 ▲4
퀀텀 3,170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457,000 ▲1,207,000
이더리움 2,641,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20 ▲190
메탈 1,221 ▲9
리스크 799 ▲3
리플 3,218 ▲37
에이다 1,017 ▲13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480,000 ▲1,22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5,500
이더리움 2,641,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30 ▲200
리플 3,219 ▲38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