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해경청장, ‘바다낚시·레저 황금 기간’대비철저 당부

부산 바다낚시 성지 영도 찾아 불시점검 기사입력:2023-09-28 10:44:02
채광철 남해해경청청장이 27일 영도파출소 연안구조정을 타고 태종대-감지해변(자갈마당)주변을 해상 순찰 중이다./채광철 청장이 영도 하리항을 찾아 낚시어선과 유선의 안전관리 실태를 중점 점검 중이다.(제공=남해지방해양경찰청)

채광철 남해해경청청장이 27일 영도파출소 연안구조정을 타고 태종대-감지해변(자갈마당)주변을 해상 순찰 중이다./채광철 청장이 영도 하리항을 찾아 낚시어선과 유선의 안전관리 실태를 중점 점검 중이다.(제공=남해지방해양경찰청)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채광철 남해지방해양경찰청장이 9월 27일 부산 영도파출소를 찾아 낚시어선과 유선의 안전관리 실태를 중점 점검했다.

채광철 남해해경청장은 다중이용선박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 당부와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지난 25일 삼천포, 26일 창원 광암항 등에 이어 27일 오후에는 부산 영도파출소를 찾았다.

채광철 남해해경청장은 이날 영도 관내 낚시어선의 승선명부 작성 실태와 구명조끼 착용 상태 등을 관찰하고, 주 조업지인 조도 방파제와 태종대 일대 연안 갯바위 등을 연안구조정을 타고 순찰했다.

또한 낚시어선 조타실에 장착되어 선박의 정보와 조난 위치 등을 전송하는 V-PASS(선박 자동 입출항 장치) 장치도 확인 했다.

채광철 남해해경청장은 “시기적으로 다중이용선박에 대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승객은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하고 운항자는 안전항해를 준수하며 해양경찰은 철저한 상황관리로 모두에게 안전하고 행복한 연휴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연중 9월부터 11월까지는 바다낚시 성어기다. 알맞은 날씨와 초보자도 쉽게 손맛을 볼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어종의 어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다낚시에 최적기이다.

남해해경청은 이번 연휴 기간 중 바다낚시 이용객이 예년 대비 약 1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남해청 관내에는 총 1,367척의 낚시어선이 영업등록을 하고 있다(전국 4,364척 대비 31% 차지).

최근 3년간 부산과 울산, 경남해역에서는 157건의 낚시어선 사고가 발생했다. 이중 48건(31%)은 9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기관고장(37%), 부유물감김(25%), 충돌(15%) 순으로 나타났고, 선박 크기는 20명 안팎이 승선할 수 있는 9톤 이상의 대형 낚시어선이 55건(35%)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사고시간은 집중 출항시간대인 오후 4~5시 사이가 49건(31%)으로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남해해경청은 최근 3년간 낚시어선 사고 분석을 토대로 이번 추석연휴 기간 중 다중이용선박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고 그 어느 때 보다 상황관리에 철저히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0월 15일 오전 5시 30분경 진해 음지도 인근 해역에서는 승선원 4명을 태우고 나가던 낚시배가 정박 중인 예선부선과 충돌해 4명이 중경상 피해를 입었고, 올해 7월 15일 오후 9시 27분경에는 진해 안골로 돌아오던 낚시어선이 웅천대교 교각과 충돌해 9명이 중경상을 입기도 했다.

또한 인명피해가 컸던 2015년 추자도 인근 낚시어선 돌고래호 전복사고와 2017년 영흥도 인근 낚시어선 선창1호와 급유선 충돌 사고는 인재(人災)가 원인으로 사회전반에 안전불감증 대한 심각성을 크게 알렸다.

부산 영도 관내에는 34척의 낚시어선과 남항~영도~북항방파제~오륙도 일대를 순환하는 유선 6척이 있다.

최근 부산과 울산에서는 돔류의 고급어종이 많이 잡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영도 인근 생도와 태종대 갯바위 등지에서는 참돔과 방어 등 고급어종이 많이 잡히고 있어 연휴 기간 중 많은 낚시객이 영도를 찾을 것으로 예상 된다. 현재 영도에 기항지를 둔 낚시어선은 일일 평균 8회 출항하지만 연휴 기간에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34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519,500 ▲1,000
이더리움 2,63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790 ▲40
리플 3,148 ▲7
이오스 1,026 ▼4
퀀텀 3,051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300,000 ▼161,000
이더리움 2,63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760 ▲20
메탈 1,161 ▲3
리스크 743 ▲10
리플 3,148 ▲9
에이다 1,009 ▲8
스팀 20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280,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520,500 ▲2,500
이더리움 2,63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780 ▲50
리플 3,147 ▲8
퀀텀 3,041 ▼16
이오타 29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