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서울본부, 서울시 생활임금 운영·제도 평가 및 개선 방안 토론회 개최

기사입력:2023-08-23 13:03:35
(사진제공=민주노총 서울본부)

(사진제공=민주노총 서울본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민주노총 서울본부와 이민옥 서울시의원(기획경제위원회)이 공동주최로 8월 22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2동에서 ‘서울시 생활임금 운영·제도 평가 및 개선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토론회 좌장은 공군자 서울노동광장 대표가, 발제는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이 맡았다. 토론자로는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유니온센터 이사장, 박덕수 부천지역노사민정협의회 사무국장, 김상욱 전국돌봄서비스노조 서울지부 정책국장, 김하늬 민주노총 서울본부 사무차장이 발표했다.

이날 발표자들은 현재 서울시 생활임금 제도의 ▲협소한 적용 범위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과 자의적인 산출 근거 ▲기준이 없어 다양한 임금 항목이 포함되는 산입 범위 ▲노동자 혹은 노동조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결정 구조 등의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먼저 서울시 생활임금의 공식적 적용 대상이 적어 민간으로의 확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노동자 중 일부에게만 적용되어 현장에서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3년 서울시 생활임금 적용 대상은 서울시(기간제, 뉴딜일자리 등), 투자 및 출자·출연기관(자회사 포함), 민간위탁기관에 직접 채용된 노동자들이다. 서울시 생활임금 조례상 적용 가능한 범위 중 서울시 공사용역 제공자나 하수급인은 제외되었으며, 수익 창출형 혹은 시비 100%가 아닌 일부 지원받는 민간위탁 노동자 역시 제외된다.

김상욱 정책국장은 “시·구립 요양시설의 종사자에게는 시비 100%가 지원되지 않는 민간위탁이라는 이유로 9년이 지난 지금까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용철 소장 역시 발제문에서“같은 위탁기관에서도 국비 지원을 받는 곳은 제외된다”며 “시·구립 요양기관 등 국비-시비, 시비-구비 매칭 사업에 대한 생활임금 적용을 지원하고, 민간까지 생활임금 적용을 확산하기 위한 인센티브 등 장려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시 생활임금의 산입범위에 포함되는 임금 항목을 형평성과 통일성을 위해 구체 항목을 특정해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재 서울시 생활임금의 산입범위는 통상임금이나,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임금 항목이 기본급, 교통비, 식대, 기타 수당 등 적용 기관·업체마다 다양하다.

김상욱 정책국장은 “교섭을 통해 각종 수당을 얻어 내더라도 생활임금에 모두 포함된다면 그만큼 생활임금 인상 효과가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하며 “생활임금 산입범위는 기본급으로 통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상임금 범위를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냐는 의문에 대해서 방청객으로 참석한 권수정 전 서울시의원은 “기본급으로 (범위를) 축소하되, 기본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편 생활임금의 산출 방식과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이후 결정 근거 등을 살펴보면 지금의 생활임금은 적정 생계를 보장하는 게 아니라 빈곤을 면하게 해주는 수준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2021년까지 최저임금 대비 120%대 이상이었던 서울시 생활임금은 2022년부터는 최저임금 대비 116~117% 수준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김하늬 사무차장은 2021년 이후 생활임금 결정에 대한 서울시의 설명을 분석하며 “민간으로 확산하기는커녕 민간이 갖는 수준으로 (생활임금을) 하향평준화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서울연구원의 생활임금 산출식의 구성 방식으로는 노동자의 적정 생계비를 고려하여 생활임금 금액을 도출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서울연구원은 도시노동자 3인 가구 가계지출 중위값 59.5%(빈곤기준선)에 사교육비 등을 더한 후, 이를 3인 맞벌이 부부의 노동시간으로 나누는 산정식으로 2022년 생활임금 금액 안을 산출했다.
이에 대해 이주희 교수는 ▲기준이 3인 가구 지출의 평균값이 아닌, 그보다 더 낮은 중위값인 점 ▲빈곤기준선을 적용해 적절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임금 수준보다 낮아진 점 ▲사교육비를 포함해 사교육을 중요한 삶의 가치로 인정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 등을 비판했다. 대안으로 서울시 다양한 가족 유형을 고려한 적정 생계비나, 영세업체 제외한 노동자의 평균임금 50% 이상에 도달하는 것을 제안했다.

생활임금이 노동조합이나 노동자의 의견 청취 혹은 참여 없이 결정되어 그 결정 과정이 폐쇄적이고 비민주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박덕수 사무국장은 부천시 생활임금 제도 논의를 위한 노사정 회의가 한 해에 6회 이상 열렸던 경험을 공유하며, 지속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종진 소장은 “지자체 중 생활임금위원회에 노동계, 경영계, 시민단체 참여 여부에 따른 생활임금은 ‘노조 효과성’이 확인된다”며 노동조합이 생활임금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시와 직접 고용 계약을 체결한 노동자만 생활임금이 적용되는 게 아니고, 각종 서울시 정책과 사업비에서 임금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노동조합 입장에서도 중요한 정책임을 언급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27.63 ▲15.49
코스닥 864.16 ▼5.99
코스피200 371.08 ▲2.2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126,000 ▼1,975,000
비트코인캐시 613,000 ▼15,000
비트코인골드 45,980 ▼1,160
이더리움 4,143,000 ▼86,000
이더리움클래식 37,700 ▼990
리플 704 ▼14
이오스 1,134 ▼22
퀀텀 5,110 ▼1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243,000 ▼1,920,000
이더리움 4,148,000 ▼85,000
이더리움클래식 37,720 ▼1,000
메탈 2,543 ▼31
리스크 2,660 ▼58
리플 705 ▼13
에이다 634 ▼15
스팀 387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6,201,000 ▼1,863,000
비트코인캐시 610,500 ▼16,000
비트코인골드 48,490 0
이더리움 4,147,000 ▼84,000
이더리움클래식 37,700 ▼920
리플 704 ▼14
퀀텀 5,160 ▼60
이오타 310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