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법 판결]AZ백신 접종 후 신경마비 겪은 병원 직원, 2심도 "업무상 재해 맞다" 승소 선고

기사입력:2025-08-05 17:21:24
서울고등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서울고등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고등법원은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마비 증상이 나타난 병원 직원에게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야 한다고 선고했다.

서울고법 행정6-2부(최항석 백승엽 황의동 부장판사)는 지난 6월 20대 A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제기한 요양 불승인 처분 취소 소송 2심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9월 1심 역시 원고 승소로 판결한 바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2월 한 병원에 작업치료사로 입사한 A씨는 그해 3월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았고 백신을 맞은 당일 밤부터 열과 구토, 왼쪽 팔·다리 위약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호소했고 두 달 뒤인 5월 신경계통 및 근골격계통 손상을 진단받았다.

이후 6월에는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마비시키는 말초성 신경병인 길랭-바레 증후군 진단까지 받았다.

A씨는 병원 권유로 백신을 접종한 다음 해당 증상이 나타났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를 신청했다.

하지만 공단은 2022년 1월 "질병과 업무 사이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요양급여 불승인 처분을 내렸다.

이에 A씨는 공단의 불승인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행정 소송을 제기했고, 1심은 A씨 손을 들어줬다.

1심 재판부는 "백신과 이 사건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의학적·자연과학적으로 명백히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A씨의 증상은 백신 접종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판시했다.

이어 재판부는 "A씨가 환자의 재활을 도와야 하는 작업환경 특성상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보인다"며 A씨 업무와 증상 사이 인과관계를 인정했다.

아울러 재판부느 "A씨는 백신을 접종할 당시 만 25세의 남성으로, 백신 접종 이전에 해당 증상이 발현됐다거나 기저질환으로 치료를 받았다는 사정을 찾아볼 수 없다"며 "A씨의 백신 접종과 증상 발현은 시간상으로 밀접하다"고 설명했다.

공단이 1심 판결에 불복했지만, 2심 재판부는 "공단의 항소 이유는 1심에서의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고, 1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고 인정된다"며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판결을 유지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8.00 ▲50.25
코스닥 798.60 ▲14.54
코스피200 431.25 ▲6.4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79,000 ▼20,000
비트코인캐시 801,500 ▲4,000
이더리움 5,130,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8,970 ▲260
리플 4,281 ▲23
퀀텀 2,956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1,000 ▲18,000
이더리움 5,12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960 ▲280
메탈 1,023 ▲3
리스크 583 ▲4
리플 4,277 ▲21
에이다 1,049 ▲3
스팀 1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30,000 0
비트코인캐시 802,000 ▲1,500
이더리움 5,12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940 ▲260
리플 4,281 ▲25
퀀텀 2,890 0
이오타 264 ▲5
ad